[공연암표 막는 양자암호기술] 개인적으로 공연 관람을 무척 좋아하는데 사실 가장 문제가 되는건 티켓 예매시점이다. 이렇게 세계를 들었다놨다하는 연예인이 아닌 작은 대학로 소극장 공연 조차 예매할때는 매크로와의 싸움에서 이겨야 하며, 여기서 질 경우 취소표를 기다리지만 결국 암표상(티켓*이 등)들이 비싼 금액에 파는 걸 손가락 빨며 보고 있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코로나 사태로 인해 기획사들이 본인 신분증을 지참하지 않는 경우 티켓을 주지 않는 등 본인확인 절차를 강화하고 있지만 뭔가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 할 방법이 없는지 예매처들을 까기도 (?) 한다. 대리구매를 통한 혹은 양심없는 암표도 막을 수 있다는 기술이 나왔다는 말이 얼마나 기쁜 소식이던지! 전반적으로 상용화 될 수 있으면 좋겠다.

BTS 공연 암표 거래 막는다... LGU+ '양자암호 기술' 적용

Naver

BTS 공연 암표 거래 막는다... LGU+ '양자암호 기술' 적용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6일 오후 2:5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3 • 조회 1,325


    🎈2025 NYU REUNION DAY! 테헤란로 소진언니

    

    ... 더 보기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