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팬덤 스터디'가 생기면 좋을까? 1. 꽤 오랫동안 팬덤에 대해 이것저것 고민해왔다. 그러다보니 나름의 규칙과 관점도 생겼고, 그걸 토대로 다른 사람들에게 얘기하다보니 비슷한 포인트에서 인사이트를 얻는다는 것도 깨달았다. 작년부터 트레바리, 기업, 단체 등에서 팬덤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면서 더 발전된 관점도 생겼다. 무엇보다 티엠아이 에프엠을 운영하면서 직접 경험한 것들에서 배운 것들도 많다. ⠀ 2. 그런데 또 한편 시기적으로 '팬덤'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음악 뿐 아니라 브랜드, 서비스, 기업 단위에서도 팬덤을 어떻게 만들까, 팬덤은 어떻게 구성될까, 팬덤 특유의 문화는 무엇일까 등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들이 늘었다. ⠀ 3. 그래서 '팬덤 스터디'를 생각하는 중이다. 팬덤을 느낌적인 느낌이 아니라 비슷한 문제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서 한 번 뜯어보자는 생각. 대상은 굳이 제한하지 않아도 좋을 것 같다. 팬덤 커뮤니티, 팬덤 서비스, 팬덤 수익모델 등. ⠀ 4. 몇 가지 조건들. - 유료 스터디: 격주 4회 정도, 회당 2시간 이상. 일방적인 강의가 아니라 다수가 모여서 협업하는 방식에 가까워서 스터디. - 1페이지 리포트: 개인적으로 1페이지 기획안을 좋아한다. 깔끔한 것도 이유지만, 정리하다보면 정말로 공부가 된다. 기본 틀+커스터마이징. 각자가 분석한 내용을 발제하고 토론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 소수 인원: 10명 이내의 인원으로 생각 중. - 주요 채널: 슬랙이나 카톡 채널에서 수시로 의견 공유. + 격주 화상 회의 (3시간) ⠀ 5. 고민되는+의견을 구하고 싶은 부분들 - 가격대: 총 4회, 회당 3시간 정도에서 적절한 가격은 얼마일까? (최저~최고) - 인원수: 몇 명이 모이는 게 적절할까? (최소~최대) - 문서 채널: 슬랙? 카카오톡? 페이스북? 노션? (편의성~선호도) - 영상 채널: 줌? 구글밋? 페이스북? (편의성~선호도) - 음성 채널: 영상보다 음성? 클럽하우스, 카카오 음 (편의성~선호도) ⠀ * 혹시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ㅎㅎ ⠀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11일 오전 10:43

댓글 6

함께 읽은 게시물

< 매일 아침 헬스장 가기 싫은 당신에게 >

1. 두 선택지가 팽팽히 맞서고 어느 한쪽이 단기적으로 더 고통스럽다면 그 길이 장기적으로 이익일 가능성이 높다. 복리의 법칙에 따라 당신은 장기적인 이익을 선택해야 한다.

... 더 보기

한국 문화가 글로벌하게 인기 있으면 이런 일까지 벌어집니다

1

... 더 보기

필리핀 외식왕국 '졸리비'는 왜 한국 브랜드만 골라 삼킬까?

n.news.naver.com

필리핀 외식왕국 '졸리비'는 왜 한국 브랜드만 골라 삼킬까?

행복은 모든 사람이 갈망하는 삶의 화두다. 행복해지기 위해 공부하고, 일하고, 운동하고, 절대자를 찾고, 복권을 긁는다. 하지만 행복에 도달한 사람이 그렇게 많아 보이지는 않는다. 접근 방법이 틀렸기 때문이다.

... 더 보기

<인문학 이야기> 서은국 "삶 곳곳에 쾌감의 폭탄을 설치하라"

n.news.naver.com

<인문학 이야기> 서은국 "삶 곳곳에 쾌감의 폭탄을 설치하라"

최고의 차별화 전략, 궁극의 브랜딩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가장 자기다운 브랜드가 되는 것’이라고 답할 것이다. 자기다움으로 차별화된 브랜드는 아무리 신선하고 새로운 브랜드가 나오더라도 흔들리지 않는다.

... 더 보기

직원 교육을 통해 브랜드 DNA를 구축하다. 브랜드의 영혼을 가진 Brand Avatar

The Unitas

직원 교육을 통해 브랜드 DNA를 구축하다. 브랜드의 영혼을 가진 Brand Avatar

조회 329


< 트레바리 '오디티 빌더스' 클럽에 초대합니다 >

1

... 더 보기

메타, MS, 알파벳의 지난 10년간 연간 해고율 그래프. 최근 빅테크의 대규모 해고가 정말 AI 때문일까요? 그렇다면 크게 감원하는 것이 목적일까요?

... 더 보기

조회 8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