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팬덤 스터디'가 생기면 좋을까? 1. 꽤 오랫동안 팬덤에 대해 이것저것 고민해왔다. 그러다보니 나름의 규칙과 관점도 생겼고, 그걸 토대로 다른 사람들에게 얘기하다보니 비슷한 포인트에서 인사이트를 얻는다는 것도 깨달았다. 작년부터 트레바리, 기업, 단체 등에서 팬덤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면서 더 발전된 관점도 생겼다. 무엇보다 티엠아이 에프엠을 운영하면서 직접 경험한 것들에서 배운 것들도 많다. ⠀ 2. 그런데 또 한편 시기적으로 '팬덤'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음악 뿐 아니라 브랜드, 서비스, 기업 단위에서도 팬덤을 어떻게 만들까, 팬덤은 어떻게 구성될까, 팬덤 특유의 문화는 무엇일까 등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들이 늘었다. ⠀ 3. 그래서 '팬덤 스터디'를 생각하는 중이다. 팬덤을 느낌적인 느낌이 아니라 비슷한 문제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서 한 번 뜯어보자는 생각. 대상은 굳이 제한하지 않아도 좋을 것 같다. 팬덤 커뮤니티, 팬덤 서비스, 팬덤 수익모델 등. ⠀ 4. 몇 가지 조건들. - 유료 스터디: 격주 4회 정도, 회당 2시간 이상. 일방적인 강의가 아니라 다수가 모여서 협업하는 방식에 가까워서 스터디. - 1페이지 리포트: 개인적으로 1페이지 기획안을 좋아한다. 깔끔한 것도 이유지만, 정리하다보면 정말로 공부가 된다. 기본 틀+커스터마이징. 각자가 분석한 내용을 발제하고 토론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 소수 인원: 10명 이내의 인원으로 생각 중. - 주요 채널: 슬랙이나 카톡 채널에서 수시로 의견 공유. + 격주 화상 회의 (3시간) ⠀ 5. 고민되는+의견을 구하고 싶은 부분들 - 가격대: 총 4회, 회당 3시간 정도에서 적절한 가격은 얼마일까? (최저~최고) - 인원수: 몇 명이 모이는 게 적절할까? (최소~최대) - 문서 채널: 슬랙? 카카오톡? 페이스북? 노션? (편의성~선호도) - 영상 채널: 줌? 구글밋? 페이스북? (편의성~선호도) - 음성 채널: 영상보다 음성? 클럽하우스, 카카오 음 (편의성~선호도) ⠀ * 혹시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ㅎㅎ ⠀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11일 오전 10:43

댓글 6

함께 읽은 게시물

<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의 진짜 의미 >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 더 보기

🍚한촌설렁탕의 파격적인 도전은 성공할 수 있을까요?

... 더 보기

외식 온라인몰의 비밀: 한촌설렁탕엔 있고 더본코리아엔 없는 것

더스쿠프

외식 온라인몰의 비밀: 한촌설렁탕엔 있고 더본코리아엔 없는 것

대기업 전직 임원이 골프장 캐디가 된 이유

... 더 보기

네이버가 미국 실리콘밸리에 네이버벤처스를 설립한다.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신규 자회사다. 글로벌 인공지능(AI) 기술과 인재를 현지에서 적극 발굴해 네이버의 AI 전략과 시너지를 내겠다는 계획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3월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한 이해진 창업자(사진)가 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던진 승부수라는 해석이 나온다.

... 더 보기

실리콘밸리에 VC 만드는 네이버…"AI 총력전"

한국경제

실리콘밸리에 VC 만드는 네이버…"AI 총력전"

⟪디자인의 역할은 프로세스에서 낭비를 줄이고 생산성을 개선하는 것⟫

... 더 보기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

www.designdb.com

공공디자인, 중앙정부를 넘어 - 영국 디자인카운슬, 2025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 더 보기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

뉴닉

무신사가 마뗑킴 일본 매장을 성공시킨 비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