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말 조지타운대 보안&이머징 기술 센터는 '진실, 거짓말 그리고 자동화'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70페이지 분량의 이 보고서에는 GPT-3와 같은 대형 언어모델이 허위정보 생산에 어떤 효과를 발휘할 것인지에 대한 상세한 연구 결과가 담겨 있습니다. 이미 대형 테크 기업들이 앞다투어 초대형 언어모델을 출시하거나 개발하고 있는 와중이어서, 이 보고서가 던지는 메시지는 강렬할 수밖에 없었죠. 얼마전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라는 대형 언어모델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지적된 문제는 곧 우리나라의 현실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보고서의 요약문을 번역을 하게 됐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라는 마음입니다.

[번역] 진실, 거짓말, 자동화 : 언어 모델이 허위정보를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

미디어고토사(Mediagotosa)

[번역] 진실, 거짓말, 자동화 : 언어 모델이 허위정보를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18일 오후 10:5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왜 좋은 콘텐츠를 수시로 업데이트 받아야 하는가?

    1

    ... 더 보기

    [25년 6월] 썸원 프라임 멤버십 모집 안내

    somewon on Notion

    [25년 6월] 썸원 프라임 멤버십 모집 안내

    '망한 디자인'이었나 싶었는데..알고 보니 고도의 마케팅!

    ... 더 보기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1 • 조회 1,237


    < '네이버 다녀요'라는 말에 아무도 무슨 일을 하는지는 묻지 않았다 >

    1

    ... 더 보기

    누구나 특정 회사에 들어서는 순간 느끼는 회사마다의 분위기가 있다. 가정도 마찬가지이다. 분위기가 엄해보이는 집, 까불까불한 집, 대화는 없어도 화목해보이는 집.

    ... 더 보기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사례뉴스

    배달의 민족 한명수 CCO, 돈이 있어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든다? “팩트는 기업 문화가 먼저 잘 잡혀야 돈이 따라온다”

     • 

    저장 6 • 조회 689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