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콘텐츠의 무한한 확장 가능성 "스토리플레이는 국내 최초 인터랙티브 스토리 플랫폼으로 사용자가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어 결정의 순간에 어떤 선택을 할 지 고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달라지는 여러 개의 결말을 수집할 수 있다." 1. 기존 웹소설, 웹툰은 닫힌 결말(정해진 결말)을 따른다. 2. 즉, 독자가 작품에 개입하여 스토리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없다. 3. 작품은 작가의 고유 권한이며, 스토리 전개 및 완결 내는 것도 작가의 고유 권한이기 때문. 4. 띵스플로우는 정해진 알고리즘이 아니라 AI 챗봇을 활용한다. 5. 본래 이 스토리플레이는 게임의 한 방식로 사용됐다. 6. 미리 다양한 결말을 제작해놓고 중간 선택에 따라 결말을 채택하는 방식이다. 7. 일종의 Yes or No 선택 방식으로, 상황별로 질문이 제시되고 유저의 선택에 따라 스토리가 전개된다. 8. 이는 유저들의 선택에 따라 스토리와 엔딩이 변경된다는 장점이 있다. 9. 띵스플로우는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스토리플레이 플랫폼을 만들었다. 10. 하지만 알고리즘 형성 방식이 AI 인식 기반이기 때문에, 보다 풍부한 내용이 추출될 것이라 예측한다. 11. 제작자가 결말을 만들어 놓은 것이 아니라, AI를 통해 새로운 결말이 형성 되도록 즉, 요새 유행하는 웹소설이나 웹툰에서 흔히 말하는 '오픈 월드' 구현 방식으로 형성될 것. ✅ 게임 웹툰이나 웹소설에서 흔히 사용하는 '클리셰'로, "제작자도 예측 못한 결말을 만들어 냈어!"라는 버그 아닌 버그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그러기 위해서는 예측도를 뛰어넘는 행위를 자아내는 유저가 필요하고, 이를 온전히 받아들여 새로움을 창조해낼 수 있는 AI 시스템이 필요할 것.

국내 최초 채팅형 인터랙티브 스토리 플랫폼

스타트업 스토리 플랫폼 '플래텀(Platum)'

국내 최초 채팅형 인터랙티브 스토리 플랫폼

2021년 6월 21일 오전 7:44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