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콘텐츠의 무한한 확장 가능성 "스토리플레이는 국내 최초 인터랙티브 스토리 플랫폼으로 사용자가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어 결정의 순간에 어떤 선택을 할 지 고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달라지는 여러 개의 결말을 수집할 수 있다." 1. 기존 웹소설, 웹툰은 닫힌 결말(정해진 결말)을 따른다. 2. 즉, 독자가 작품에 개입하여 스토리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없다. 3. 작품은 작가의 고유 권한이며, 스토리 전개 및 완결 내는 것도 작가의 고유 권한이기 때문. 4. 띵스플로우는 정해진 알고리즘이 아니라 AI 챗봇을 활용한다. 5. 본래 이 스토리플레이는 게임의 한 방식로 사용됐다. 6. 미리 다양한 결말을 제작해놓고 중간 선택에 따라 결말을 채택하는 방식이다. 7. 일종의 Yes or No 선택 방식으로, 상황별로 질문이 제시되고 유저의 선택에 따라 스토리가 전개된다. 8. 이는 유저들의 선택에 따라 스토리와 엔딩이 변경된다는 장점이 있다. 9. 띵스플로우는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스토리플레이 플랫폼을 만들었다. 10. 하지만 알고리즘 형성 방식이 AI 인식 기반이기 때문에, 보다 풍부한 내용이 추출될 것이라 예측한다. 11. 제작자가 결말을 만들어 놓은 것이 아니라, AI를 통해 새로운 결말이 형성 되도록 즉, 요새 유행하는 웹소설이나 웹툰에서 흔히 말하는 '오픈 월드' 구현 방식으로 형성될 것. ✅ 게임 웹툰이나 웹소설에서 흔히 사용하는 '클리셰'로, "제작자도 예측 못한 결말을 만들어 냈어!"라는 버그 아닌 버그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그러기 위해서는 예측도를 뛰어넘는 행위를 자아내는 유저가 필요하고, 이를 온전히 받아들여 새로움을 창조해낼 수 있는 AI 시스템이 필요할 것.

국내 최초 채팅형 인터랙티브 스토리 플랫폼

스타트업 스토리 플랫폼 '플래텀(Platum)'

국내 최초 채팅형 인터랙티브 스토리 플랫폼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21일 오전 7:4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MZ 퇴사 사유 1위, 당신도? 일자리 판도가 바뀐다!

    M

    ... 더 보기

    <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의 진짜 의미 >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 더 보기

    리더. 국어사전을 보면 조직이나 단체에서 전체를 이끌어가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지식백과사전에는 어떤 조직이나 단체에서 목표의 달성이나 방향에 따라 이끌어 가는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 구성원들에 대한 결정의 책임을 지고 또한 집단 외부와의 조정 기능의 역할도 하는 사람이라고 되어 있다.

    ... 더 보기

    [시사뉴스] 【박성태 칼럼】 리더가 독재를 하게 되는 두가지 이유

    www.sisa-news.com

    [시사뉴스] 【박성태 칼럼】 리더가 독재를 하게 되는 두가지 이유

    조회 223


    오픈AI는 아이브의 AI 기기 개발 스타트업인 io를 전액 주식 거래로 인수하기로 했다. io의 기업가치는 약 65억달러(약 8조9000억원)로 평가된다. 

    ... 더 보기

    오픈AI, 아이폰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 스타트업 인수…AI 기기 개발 본격화

    블로터

    오픈AI, 아이폰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 스타트업 인수…AI 기기 개발 본격화

    < 집착, 신념, 두려움 – 당신을 망치는 3가지 필터 >

    1. 당신에게는 세 가지 여과 장치가 있는데, 첫째는 당신의 집착, 둘째는 당신의 신념, 셋째는 당신의 두려움입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