님의 프로필 사진

"우리나라의 청년들이 의외의 결과를 보인 부문이 있었다. 맥킨지앤컴퍼니의 2020년도 설문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년들은 친환경 제품에 대한 민감도(친환경 제품에 더 비싼 값을 지불할 의사)가 설문 국가들 중 가장 낮았다. 심지어 중국, 인도네시아, 태국, 일본 등을 포함한 조사 국가 중에서 가장 낮은 관심도를 보인 뜻밖의 결과다." "한국 MZ세대의 친환경적인 소비성향은 X세대보다는 약 4~5% 증가한 32%이지만, 50%를 웃도는 중국의 MZ세대보다도 낮았다. 반면 동 분석은 한국의 청년들이 제품을 구매하는 데는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고 분석했다. 한국의 MZ세대는 친환경적인 요소가 아닌 브랜드, 가격, 품질에 가장 까다롭다는 의미다."

MZ세대 마음 얻지 못한 ESG는 실패한다

매일경제

MZ세대 마음 얻지 못한 ESG는 실패한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6월 23일 오전 7:4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오늘 하루 문득 든 생각》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419


    AI로 인해 영어는 이제 진짜 말하기만이 답 입니다. 그리고 말만 할 줄 알면 기회가 정말 크게 넓어질거구요.


    이제는 모두가 체감하고 있듯이 앞으로 영어로 읽기 쓰기는 큰 의미가 없어지겠지만, 말하기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거든요.


    ... 더 보기

     • 

    저장 2 • 조회 2,950


    한 명의 리더가 일으키는 기적은 놀랍다. 한국도 많은 리더가 있었다. 그러나 요즘엔 국가의 리더는 별로 안 보이고 나라 안팎에서 구설수에만 오르고 있다. 신뢰와 화합의 리더십은 바닥이다. 인간다운 도리와 설득력, 역량이 없고 마음은 황폐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 더 보기

    [천기덕 칼럼] 리더와 꼰대의 '비소리와 공소리' - 1코노미뉴스

    1코노미뉴스

    [천기덕 칼럼] 리더와 꼰대의 '비소리와 공소리' - 1코노미뉴스

    조회 206


    회사 경영진이 해결해야 할 '진짜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거나 전달하지 못해, 기술진·실무진이 잘못된 지표를 최적화하거나 가치가 낮은 영역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 더 보기

    AI 앞세운 프로젝트, 85%가 망하더라 [AI오답노트]

    cm.asiae.co.kr

    AI 앞세운 프로젝트, 85%가 망하더라 [AI오답노트]

    🍨'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 더 보기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비즈니스워치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12 • 조회 2,6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