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당장 백수인데...다시 예전처럼 돈을 벌지 못하면 어쩌지?〕 🥸“쟤는 어렵게 취업해 놓고 왜 저렇게 빨리 퇴사를 해? 🤨 충성의 대상이 꼭 회사여야 하나요?.. - 임홍택 「90년생이 온다」 중- 빠른 손절(a.k.a 퇴사)은 MZ세대 스스로에게 미덕 아닌 미덕이 되었습니다. 다만 연애만큼 퇴사도 쉬워보여서 하긴 했는데, 일주일 간 넷플릭스만 보고있는 분들 있지 않으신가요? 퇴사 후 불안한 휴식이 아닌 건강한 루틴을 통해 본인의 이상을 보란듯이 달성한 두 명의 프로 퇴사러와 👩‍💻👨‍💻 그들만의 현실적인 시간관리 비법을 소개합니다. 〔👀콘텐츠 맛보기〕 인간에게 주어진 가장 큰 선물 자유의지. 지난날에는 '지금 당장 하기 싫고 귀찮은 일'은 그만두고, '지금 당장 하고 싶은 일'을 마음껏 하는 행위가 자유라고 착각해왔다. 그리나 자유의지의 정의는 단기적으로 자유롭게 행동하고 싶은 마음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이상을 펼치기 위해 스스로의 시간을 통제하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중략) 1. 문과 출신 데이터 전문가로 유명한 쏘카(SOCAR)의 '변성윤'님은 커리어 패스(Career path), 즉 자신의 미래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을 GAP YEAR라 정의하고 이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과감히 퇴사를 결정했다. 2. 최근 업글인간 씬에서 화제를 몰고 있는 모빌스그룹. 경제/경영 베스트셀러에 랭크된 <프리워커스>의 작가 '소호'님은 퇴사 이후의 일과를 <재택근무>로 정의했다. 소호님은 브런치 매거진을 통해 생산성과 관련된 책들을 리뷰하고, 지인들과 함께 논의하는 팟캐스트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행했다. 회사가 정해준 시스템에 의해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생산하는 방법과 이유를 찾으며 자신만의 재택근무 스타일을 구축한 것이다. 그리고 이 생산성 스터디를 통해 숙지한 구글의 OKR을 본인의 재택근무에 반영하기 시작했다. (중략) 데이터 엔지니어와 크리에이티브 기획자. 너무 다른 두 사람이지만 스스로의 시간을 통제/관리하는 루틴을 통해 3D 프린터와 같이 이상을 현실로 만들어 갔다. 이를 통해 정리해 본 핵심은 다음과 같다. (1) 자신을 위한 목표(방향)이 가장 먼저 설정되어야 한다. 그 근거는 역량, 성향, 바램 등을 기준으로 한다. (2) 목표에 맞는 전술(공부 혹은 업무)에 우선순위 및 데드라인을 설정하여 알맞게 배분해야 한다. (3) 정기적으로 점검되어야 하며 점검은 반드시 기록되어야 한다.

최근 퇴사한 백수들에게 유용한 시간관리 비법

Brunch Story

최근 퇴사한 백수들에게 유용한 시간관리 비법

2021년 6월 29일 오후 11:09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