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든 들어 다양한 패션 브랜드 혹은 플랫폼에서 유튜브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는 이제 시청자들과 접점을 매거진이나 TV 속 인플루언서에게 협찬하여 간접적으로 노출하는 방식이 아닌 자신들이 직접 기획한 콘텐츠를 통한 적극적인 소통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인데요. 여기서 주요한 것은 결국 이런 소통 방식은 인하우스 형태의 콘텐츠 제작 조직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고 그들에게 주어진 미션은 콘텐츠 바이럴을 통한 매출 증대라는 것이 있습니다. 콘텐츠를 불특정 다수에게 바이럴 시켜 TV 본방사수를 통한 광고 매출 증대가 주요한 목적인 기존 미디어 콘텐츠 지향점과 시작점 자체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인데요. 조금은 콘텐츠가 도구로서 쓰이는 홈쇼핑에 가까운 미션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들이 타겟팅 하는 소비층을 공략하는 방식이 과연 어떤 신선한 접근으로 나올 수 있을지 지켜볼만하겠네요.

'옷' 대신 '콘텐츠'...패션업계는 왜 유튜브에 힘쓸까

쿠키뉴스

'옷' 대신 '콘텐츠'...패션업계는 왜 유튜브에 힘쓸까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18일 오후 2:1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최고의 차별화 전략, 궁극의 브랜딩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가장 자기다운 브랜드가 되는 것’이라고 답할 것이다. 자기다움으로 차별화된 브랜드는 아무리 신선하고 새로운 브랜드가 나오더라도 흔들리지 않는다.

    ... 더 보기

    직원 교육을 통해 브랜드 DNA를 구축하다. 브랜드의 영혼을 가진 Brand Avatar

    The Unitas

    직원 교육을 통해 브랜드 DNA를 구축하다. 브랜드의 영혼을 가진 Brand Avatar

    조회 278


    돈 쓸어 담는 직장인들의 공통점

    ... 더 보기

    한국 문화가 글로벌하게 인기 있으면 이런 일까지 벌어집니다

    1

    ... 더 보기

    필리핀 외식왕국 '졸리비'는 왜 한국 브랜드만 골라 삼킬까?

    n.news.naver.com

    필리핀 외식왕국 '졸리비'는 왜 한국 브랜드만 골라 삼킬까?

    < 매일 아침 헬스장 가기 싫은 당신에게 >

    1. 두 선택지가 팽팽히 맞서고 어느 한쪽이 단기적으로 더 고통스럽다면 그 길이 장기적으로 이익일 가능성이 높다. 복리의 법칙에 따라 당신은 장기적인 이익을 선택해야 한다.

    ... 더 보기

    행복은 모든 사람이 갈망하는 삶의 화두다. 행복해지기 위해 공부하고, 일하고, 운동하고, 절대자를 찾고, 복권을 긁는다. 하지만 행복에 도달한 사람이 그렇게 많아 보이지는 않는다. 접근 방법이 틀렸기 때문이다.

    ... 더 보기

    <인문학 이야기> 서은국 "삶 곳곳에 쾌감의 폭탄을 설치하라"

    n.news.naver.com

    <인문학 이야기> 서은국 "삶 곳곳에 쾌감의 폭탄을 설치하라"

    < 트레바리 '오디티 빌더스' 클럽에 초대합니다 >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