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치사율이 낮아야 한다. 전파되기도 전에 숙주가 죽어버리면 안되기 때문이다. 박쥐는 자신은 감염되지 않으면서 바이러스를 보유할 수 있고, 그래서 박쥐가 보유한 바이러스는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우한 폐렴)처럼 강력한 바이러스로 진화한다. "항 바이러스제로 언급되는 ‘인터페론’은 바이러스 감염 시 체내에 발현되는 특수 단백질입니다. 인터페론은 바이러스 감염 후 첫 번째 방어적인 역할로, 감염된 세포와 인접한 세포 사이에서 바이러스 복제를 제한합니다. 일반적으로 인터페론은 감염 뒤 생성되는 단백질입니다. 그러나 병원균에 감염되지 않은 박쥐의 조직과 세포에서 지속적으로 인터페론이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박쥐의 경우 감염에 지속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이죠." 숙주인 박쥐를 어떻게 해야할까? 박쥐를 박멸한다면 문제가 해결되기 보다는 생태계 균형 파괴로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과학의 발달로 박쥐에게서 감염되지 않는 특성을 가져올 수 있는 날이 올 때까지 야생동물을 피하는 편이 낫다. 굳이 나서서 피실험자가 될 필요는 없다. "다른 종에서 인터페론 반응의 지속적인 활성화는 면역 반응의 과다 활성화로 이어져 조직 손상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박쥐가 일정한 수준의 인터페론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은 현재로서는 완벽히 입증되지 않고 있습니다. 박쥐에서 인터페론의 독특한 발현 패턴을 밝히는 것은 바이러스 연구의 새로운 실마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박쥐는 왜 메르스에 안 걸릴까?

Naver

박쥐는 왜 메르스에 안 걸릴까?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월 27일 오후 12:4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24 • 조회 4,211


    💸 기술 부채 개념, 유형, 해결 방법

    ... 더 보기

    기술 부채 어떻게 상환할까?

    InfoGrab Insight

    기술 부채 어떻게 상환할까?

     • 

    저장 19 • 조회 2,536



    딥러닝/LLM 모델은 기본적으로는 Stateless한 상태지만, 대부분 프롬프트와 출력을 계속 되먹임하면서 작업을 이어가기 때문에 여러 턴으로 이루어진 태스크에서는 Stateful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것을 In-context learning 이라고 합니다.


    ... 더 보기

    기회

    

    ... 더 보기

    조회 591


    🎯 유튜브에 100번째 코딩 테스트 문제 풀이 영상을 올렸습니다!

    ... 더 보기

    달레의 코딩 테스트

    www.youtube.com

    달레의 코딩 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