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10가지 심리학 법칙> 1. 사용자는 다른 곳에서 썼던 대로 작동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2. 터치 대상에 도달하는 시간은 대상까지의 거리, 대상의 크기와 함수 관계에 있다. 3. 사용자에게 주어진 선택 가능한 선택지의 숫자에 따라 사용자가 결정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결정된다. 4. 사람이 한 번에 기억할 수 있는 양은 7개 전후이다. 5. 자신에겐 엄격하게, 상대에겐 관대하게 6. 사람들은 경험의 피크와 마지막을 기억한다. 7. 보기 좋은 디자인을 사용성이 더 뛰어난 디자인으로 인식한다. 8. 여러 목록 중 뚜렷하게 구분되는 항목을 가장 잘 기억한다. 9. 모든 시스템에는 더 줄일 수 없는 일정 수준의 복잡성이 존재한다. 10. 사용자의 주의가 분산되는 것을 막고 생산성을 높이려면 시스템의 반응은 0.4초 이내에 이루어져야 한다.

[커리어 노트 57] 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10가지 심리학 법칙

네이버 블로그 | IGM세계경영연구원 블로그

[커리어 노트 57] 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10가지 심리학 법칙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8월 22일 오후 11:1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잡초를 없애려면 잡초 말고 오히려 잔디를 깎아야 한다 >

    1. 자기 철학이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그런 경지에 오르게 되는 것일까?

    ... 더 보기

    “왜 나는 욱하고 말았을까?” “왜 나는 그렇게 화를 분출했을까?” 회의 중, 메신저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리더의 감정 폭발은 일순간에 리더십 전체를 흔들어놓는다. 그리고 회의가 끝나고 긴장이 풀리면 리더는 ‘지적의 정당성’과는 별개로 자신의 감정적 태도를 후회하고 자책한다.

    ... 더 보기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n.news.naver.com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 가장 예쁜 사람이 아니라, 1등 할 사람에게 투표하라 >

    1. 유명한 경제학자 케인스는 단기 투자 전략을 미인선발대회에 비유했다.

    ... 더 보기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동기부여는 세수하듯해라...250710

    1.●마인드를 바꾸는 순간 실행과 결과는 따라온다.
    2.능력은 욕망과 함께 온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