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리 인턴 일지] Day #6 드.디.어. [규칙 없음]을 다 읽었다. 책을 많이 읽지 않는 나에겐 너무 두려운 두께였지만, '이런 류'의 책은 처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말 재미있게 읽었다. 이틀 만에 다 읽었으니, 말 다했다. _ 인재 밀도와 솔직함, 그리고 자유. 넷플릭스가 추구하는 이 3가지 가치가 위태로우면서도 건재한 에피소드들은 스릴과 묘한 쾌감을 안겨주었다. 위태로움은 모르겠으나, 넷플릭스에서 추구하는 NO RULES RULES는 퍼블리 안에서 꽤 유사한 형태로 유지되는 것 같다. 심지어 넷플릭스 이야기를 보고 있는데, '어? 이거 완전 퍼블리인데?' 싶었던 포인트가 꽤 있다. '퍼블리 문화는 이 책에서 가져온 것일까? 아니면 어쩌다 일맥상통하게 된 것일까?' 이런 생각도 종종 해봤지만, 결국,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만큼 큰 의미는 없다는 생각에 금방 다른 생각으로 넘어갔다. _ 소령과 다른 신규입사자들과 온보딩 교육이 있었다. 캘린더에 1시간 반이 잡혀있어 뭔가 오래 걸리겠다, 싶었는데 진짜 금방 지나갔다. 면접 때도 그랬는데, 대화가 전혀 지루하지 않아서 퍼블리에만 있으면 시간이 훅훅 지나간다. _ Learning + Unlearning 온보딩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은 온보딩의 막바지에 소개된 내용이다. 소령이 인용한 신영의 말을 다시 인용하자면, "퍼블리에 합류했다는 것은 '퍼블리가 지향하는 일하는 방식'에 동참하겠다는 뜻" 그래서 우리는 동료를 신뢰하기로 하였고, 담백하고 솔직한 피드백을 주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신규입사자는 퍼블리의 방식을 Learning하고 퍼블리의 방식이 아닌 것은 Unlearning해야 한다. _ 이 말마저 담백해서 괜히 흡족했다. '이게 퍼블리지.' 마침 [규칙 없음]을 읽은 덕에 소령의 메시지를 이해하기 수월했다. 그러다 문득 궁금해졌다. 1시간 반이 순식간에 지나간 탓에 미처 질문하지 못한 질문. '넷플릭스와 이건 다르다, 할 수 있는 퍼블리의 방식은 무엇일까?' 책 [규칙 없음]에서 unlearning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_ 내일은 씹을거리를 가지고 출근하기로 했다. 내가 정한 건 아닌데, 내가 말했다(?) 5명 축하드려요~🎉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8월 24일 오전 11:4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가끔 미국이나 홍콩 등에서 온 해외 투자자들을 만날 때가 있다. 이미 상장된 전 세계 대기업에 투자하는 큰 펀드를 운용하는 회사에 다니는 분들이다. 그들과 이야기하다가 한국의 경영자들은 그들을 잘 만나주지도 않고, 회사의 방향성에 대한 커뮤니케이션도 잘 못한다는 얘기를 들었다.

    ... 더 보기

    글로벌 매체에서 인정받는 한국 경영자가 없는 이유

    ㅍㅍㅅㅅ

    글로벌 매체에서 인정받는 한국 경영자가 없는 이유

    조회 162


    < 좋은 관계를 위한 최소한의 예의, ‘거리 두기’ >

    1. 살다보면 나를 끔찍이 싫어하는 사람이 한둘은 나오게 마련이다.

    ... 더 보기

    업계는 오픈AI와 퍼플렉시티의 웹브라우저가 크롬의 아성을 무너뜨릴 수 있을지 주목한다. 시장조사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전 세계 웹브라우저 시장 점유율은 크롬이 68%로 압도적 1위다. 애플 사파리가 16%로 뒤를 이었고,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5%, 파이어폭스와 삼성인터넷은 2% 수준에 그쳤다. 크롬의 높은 검색 점유율은 구글의 광고 매출로 이어진다. 크롬은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바탕으로 광고를 타겟팅하고, 이를 통해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 더 보기

    ‘크롬 천하’ 웹브라우저 시장 도전하는 AI기업들

    국민일보

    ‘크롬 천하’ 웹브라우저 시장 도전하는 AI기업들

    조회 287


    안정적인 기업 재미없어요! I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사람들

    ... 더 보기


    생각해볼 부분이 많은 chart

    우리는 이런 세상에 살고 있고, 이중 몇몇은 더 잘될것이고, 몇몇은 말이되는 multiple로 내려올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