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람이 무려 67번을 방문한 호텔이 있다고 하니 클릭을 안 할 수 없었다. 대체 왜? 그 호텔은 커뮤니티 호텔이란다. 생소하다. 투숙객과 현지인 사이의 교류를 중요하게 여기는 ‘로컬 기반의 호텔’을 뜻하는데 이 글에서는 ‘플레이스 캠프 제주’를 예로 들어 이야기하고 있다. 호텔이 나와는 거리가 먼 소재일지 모르겠으나 프리랜서로 롱런하는 사람이 되고 싶은 나는 몇가지 인사이트를 얻었다. 글이 끝날 때쯤 한 번 방문해보고 싶은 생각도 간절해졌다. -자기다움 : 수익도 좋지만, 브랜드가 사랑받기 위해선 '사람'을 지향해야 하고,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명확해야 한다. 그리고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선 현재 내가 살고 있는 '시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거기에 새로운 개성을 더하기 위해서는 나만의 '철학'이 있어야 한다. (내가 요즘 끊임없이 고민하는 부분) -NOT JUST A HOTEL 1. 라이프 아니 사람들이 제주까지 왔는데 자연 경관을 보지 않고 이 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려 한다고? 총 6개의 건물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고, 어디서도 볼 수 없는 특별하고 가성비까지 좋은 다채로운 메뉴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객실이 부대시설이 되는 주객전도 호텔. 궁금하다 궁금해. 2. 스타일 플캠 제주가 정의하는 스타일은 특정 ‘삶의 태도’다. 이들이 정의한 삶의 태도는 바로 '플레이'! PLAYCE'는 'Play Love Art Youth Change Everything', 즉 '놀이와 사랑, 예술 그리고 젊음은 모든 걸 바꿀 수 있다'는 뜻을 담고 있단다. 그 하이라이트를 광장에서 느낄 수 있다는데 이 광장에서 맥주, 영화, 재즈, EDM 페스티벌이 열렸다고 한다. 페스티벌 단어만 들어도 설렌다. 정말 낫 저스트 어 호텔이다! 3. 큐레이터 결이 잘 맞고 아직 유명하지 않지만 자기만의 색이 확고한 브랜드들이 입점해 있다. 브랜드들을 보니 더욱 이 호텔이 말하고자하는 나다움이 뭔지 알 것 같다. 4. 직원과 고객도 ‘나다움’ 투숙객 전용 오픈 채팅방, 액티비티 프로그램, 직원들의 자율성 보장, 거기에 컴플레인도 이들은 유쾌하게 풀어나가고 있다. 개인적으론 그 방명록이 책으로 나왔더라면 한 번 훔쳐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WHY 브랜드 철학은 ‘왜’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우리는 이 일을 왜 하는가’처럼 ‘왜’병에 걸려 끊임없이 질문을 하고, 답을 얻고, 앞으로 달려가야 한다. 특히 ‘나’라는 브랜드가 나다움을 잃지 않게. 그리고 유일무이 차별화 될 수 있게. #퍼블리뷰 #퍼블리매일읽기챌린지 #퍼블리뷰3일차

한 사람이 67번 재방문한 호텔의 비밀은? 플레이스캠프 제주 편

publy.co

한 사람이 67번 재방문한 호텔의 비밀은? 플레이스캠프 제주 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8월 25일 오후 2:3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안정적인 기업 재미없어요! I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사람들

    ... 더 보기

    생각해볼 부분이 많은 chart

    우리는 이런 세상에 살고 있고, 이중 몇몇은 더 잘될것이고, 몇몇은 말이되는 multiple로 내려올것.


    가끔 미국이나 홍콩 등에서 온 해외 투자자들을 만날 때가 있다. 이미 상장된 전 세계 대기업에 투자하는 큰 펀드를 운용하는 회사에 다니는 분들이다. 그들과 이야기하다가 한국의 경영자들은 그들을 잘 만나주지도 않고, 회사의 방향성에 대한 커뮤니케이션도 잘 못한다는 얘기를 들었다.

    ... 더 보기

    글로벌 매체에서 인정받는 한국 경영자가 없는 이유

    ㅍㅍㅅㅅ

    글로벌 매체에서 인정받는 한국 경영자가 없는 이유

    조회 159


    < 좋은 관계를 위한 최소한의 예의, ‘거리 두기’ >

    1. 살다보면 나를 끔찍이 싫어하는 사람이 한둘은 나오게 마련이다.

    ... 더 보기

    업계는 오픈AI와 퍼플렉시티의 웹브라우저가 크롬의 아성을 무너뜨릴 수 있을지 주목한다. 시장조사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전 세계 웹브라우저 시장 점유율은 크롬이 68%로 압도적 1위다. 애플 사파리가 16%로 뒤를 이었고,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5%, 파이어폭스와 삼성인터넷은 2% 수준에 그쳤다. 크롬의 높은 검색 점유율은 구글의 광고 매출로 이어진다. 크롬은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바탕으로 광고를 타겟팅하고, 이를 통해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 더 보기

    ‘크롬 천하’ 웹브라우저 시장 도전하는 AI기업들

    국민일보

    ‘크롬 천하’ 웹브라우저 시장 도전하는 AI기업들

    조회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