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부터 눈길이 확 끌렸습니다. SaaS에서 첫 번째 S가 Software가 아닌 Story를 쓰는 소프트웨어 기술 회사입니다. 여기서 Story는 이야기나 서사가 아닌 인스타그램 또는 스냅챗의 스토리 기능을 말합니다. 이 아티클에서는 스토리 기능을 앱 또는 웹사이트에 제공하는 회사 스토리텔러(http://getstoryteller.com)를 소개합니다. 스토리텔러는 SDK 연동을 통해 스토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클라이언트가 이미지, 영상, 또는 설문조사를 업로드하고 미리보기를 통해 스토리를 생성할 수 있는 백엔드로 액세스할 수 있어요. 여기서 콘텐츠를 분류하고 일정을 정하고 데이터를 추적 및 분석하게 됩니다. 영화 체크리스트 앱인 홀마크에서 가장 먼저 사용했다고 해요. 지금은 수 십개 회사에서 스토리텔러의 제품을 도입했고 수백만 명의 유저가 사용 중입니다. 클라이언트를 공개할 수는 없다고 하지만 홈페이지에 가보면 스포티파이가 나와요. 앞으로는 스포츠 미디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중소규모 회사를 공략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최근 추세인 소규모, 부트스트래핑, 소프트웨어, 노 코드, 툴 등의 키워드를 모두 담은 회사 중 하나입니다. 앞으로 이런 회사를 소개할 일이 많아질 거 같네요.

Stories as a service: Storyteller lets anyone add Stories to their own apps or website

Yahoo Finance

Stories as a service: Storyteller lets anyone add Stories to their own apps or website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5일 오전 9:4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상위 1% 파이썬 개발자가 사용하는 백엔드 레포지토리 TOP 8

    ... 더 보기

    🐍 8 backend repos used by the top 1% of python devs 🏆

    Medium

    🐍 8 backend repos used by the top 1% of python devs 🏆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934


    < 우리가 음악에 중독되는 이유 (feat. 도파민) >

    1. 우리는 음악이 우리의 기대를 충족하고 우리의 기대를 위반 하는 방식에서 즐거움을 얻는다.

    ... 더 보기


    < 왜 어떤 제품에만 '열광적인 팬'이 생길까요? >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