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이 수익성 개선을 위해 다른 기업들의 물품을 보관, 배송, 재고관리 해주는 3PL(Third Party Logistics)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한다. 전국 단위의 배송망(전국 물류 거점 170개로 국내 전자상거래 기업 중 최다)을 확보하고 있고 추가적으로 영업점과 인력을 확보할 것이기 때문에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듯 하다. 하지만 아마존의 FBA는 단순히 물리적인 창고와 배송인력으로 이루어진 신화가 아니며,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과 수요 예측 알고리즘이 핵심이라고 알고 있다. 그런데도 쿠팡과 관련한 기사에서는 지점이나 인력 확보에 중점이 맞춰지고 있으니 의문이 생기기 마련이다. 중요한 것은 3PL이라는 BM이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최대한의 소비자 경험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기술과 서비스라고 생각한다. 매출의 증가세와는 별개로 흑자전환을 쉽사리 이루고 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또다른 대규모 투자가 과연 옳은 결정인지도 의구심이 든다.

10년간 누적적자 4조8000억원 쿠팡, 돈 되는 '3자 물류' 본격화 수순

조선비즈

10년간 누적적자 4조8000억원 쿠팡, 돈 되는 '3자 물류' 본격화 수순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16일 오전 5:1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4 • 조회 1,339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Z가 신상이 아니라 중고 명품에 관심을 갖고 지갑을 본격적으로 연다면서 그 이유를 분석했는데, 그 중 몇몇을 추리면 MZ가 친환경 의식이 높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추구하고 사용성이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시해서라고 그렇단다. 솔직히 그건 그냥 끼워맞춘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아무리 넉넉한 마음을 갖고 봐도 아주 매우 지극히 극히 일부는 그럴 수 있다 이해해도 결국 명품 갖고 싶으니깐 핑계에 이유를 붙인거에 가까워보인다.

    ... 더 보기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

    naver.me

    "비싼 명품 안 사요" MZ 돌변하더니…'2500억' 몰린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