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뉴욕의 아시아 인구가 매우 빨리 증가하고 있다 (뉴욕타임즈) - 미국에서 아시안 대중문화가 영향력을 키우는 이유에 대한 힌트. 단순히 '한류'라는 관점으로 보면 이런 게 잘 안보이거나 오해할 가능성이 있을 듯. - 지난 8월 발표된 미국의 인구조사국 자료에 따르면, 2010년 이후 뉴욕시 전체 인구가 예상치 못하게 7.7%나 증가했고, 그 동력은 아시아인들의 거주였다고 한다. 이는 뉴욕시의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인구통계학자들의 예측을 거스른다. - 미 전역에서 거의 2천만 명의 아시아계 사람들이 20개 주 이상에서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얘기. LA나 휴스턴 같은 대도시 뿐 아니라 노스다코타나 인디애나 같은 지역에서도 빠르게 성장 중. 웨스트버지니아 주의 경우엔 주 전체 인구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오직 아시아 인구는 증가했다. - 아시아 거주자들의 급증은 뉴욕의 주택 시장, 소규모 기업 및 정치적 대표성을 크게 재편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특히 중국과 한국에서 온 학생들과 최근 대학/대학원 졸업생들이 이런 현상을 주도하는 중. - 2019년 인구조사 자료에 따르면 아시아인으로 파악되는 롱아일랜드시티 주민 가운데 가장 큰 3개 민족은 중국인, 일본인, 한국인이다. 과거에는 맨해튼의 차이나타운 같은 곳에서 일하는 식당 종업원들이나 가정부들이 이런 지역 사회 구성을 차지했던 것과는 다른 점이다. - "그들은 자신의 배경을 부끄러워하거나 그것이 열등하거나 스스로 미국인이 아닌 것처럼 느끼면서 자라지 않았다"라고 한국계 미국인인 오씨는 말했다. - 지역 기업들 역시 변화하는 인구 통계 수요에 맞추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주요 상업 통로인 잭슨 애비뉴를 따라 빈 상점가들은 곧 새로운 상점으로 채워질 것이다. 중국의 국수 체인점 둔황, 한국의 제과점 체인 파리바게뜨, 스시 라운지 미토 등이 그것이다.

☕한류 혹은 아시안 문화의 영향력은 왜 커지고 있을까?

우디 디자인 취업고민

☕한류 혹은 아시안 문화의 영향력은 왜 커지고 있을까?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23일 오전 7:3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5년전부터 트렌드나 사업전략 강연이나 멘토링, 컨설팅했을 때마다 점차 변화하고 있는 중장년과 시니어의 속성과 라이프스타일을 언급하면서 새로운 사업기회로 이야기해왔다. 일부는 감사하게도 그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주시고 사업아이템을 만들거나 피봇팅해서 현재 잘나가는 스타트업들도 몇몇 있다.

    ... 더 보기

    '액티브 시니어' 공략 잘한 스타트업, 4년새 매출 두배 커졌다 - 매일경제

    매일경제

    '액티브 시니어' 공략 잘한 스타트업, 4년새 매출 두배 커졌다 - 매일경제

    조회 859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청년미래플러스 사업, 이전에 공유했었는데요.

    ... 더 보기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

    한때 천만원에 거래되었던 Manus, Bedrock 무료 오픈소스로 공개

    ... 더 보기

    LinkedIn

    lnkd.in

    LinkedIn

     • 

    저장 17 • 조회 1,294


    연봉 올라가도 팀장처럼 되긴 싫어요 I MZ 퇴사 이유

    ... 더 보기


    👰청첩장 점유율 60% 이상, 바른컴퍼니의 핵심 경쟁력은

    ... 더 보기

    예비부부 3쌍 중 2쌍 택했다…55년 청첩장 파는 이 업체 비결 [비크닉] | 중앙일보

    중앙일보

    예비부부 3쌍 중 2쌍 택했다…55년 청첩장 파는 이 업체 비결 [비크닉]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