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에이터의 오디언스에는 국경이 없다, 암호화폐도 그렇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서의 크리에이터는 단순히 개인 창작자에 그치지 않습니다. 크리에이터가 되는 것은 곧 인터넷 비즈니스를 차리는 것이고, 크리에이터는 곧 기업가라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인터넷의 GDP를 끌어올리겠다"는 스트라이프의 미션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와 잘 맞는다고 할 수 있죠. 스트라이프 창업자인 패트릭 콜리슨은 클럽하우스와의 파트너십 당시 "새로운 소셜 플랫폼이 내부 수익화나 광고보다 참여자 수익(*participant* income)에 우선 집중하는 게 멋지다. 급성장하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와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의 새로운 시대에 흥분된다"는 덕담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인터넷의 GDP를 끌어올리겠다'라는 미션 참 멋지지 않나요?

11. 단독⚡ 스트라이프, 암호화폐 전략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앤디의 마음챙김 레터

11. 단독⚡ 스트라이프, 암호화폐 전략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0월 26일 오후 3:4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퍼스널 브랜딩의 불편한 진실

    회사에서 개인의 브랜드를 만든다는 것은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는 행위이다.
    이게 무슨 말일까?

    ... 더 보기

    공공기관 5년차 MZ가 워라밸 버리고 "이것" 선택한 진짜 이유

    ... 더 보기

    팀장님들, 질문 하나 드려보겠습니다! 오늘은 몇 개의 질문을 들으셨나요? 아마 매일 매일 한 100개 쯤은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드는데요ㅎㅎㅎㅎ

    ... 더 보기

    팀장상담소 21편 회사는 학교가 아닌데..! 팀원들이 스스로 해답을 찾지 않고 답만 묻네요 _ 팀장교육,팀장과정, 관리자교육

    네이버 블로그 | IGM세계경영연구원 블로그

    팀장상담소 21편 회사는 학교가 아닌데..! 팀원들이 스스로 해답을 찾지 않고 답만 묻네요 _ 팀장교육,팀장과정, 관리자교육

    < 진보는 조용히 오고, 파괴는 시끄럽게 온다 >

    1. 문제는 고쳐지고 사람들은 적응한다. 위협이 크면 해결책이 나올 동인도 똑같이 커진다.

    ... 더 보기

    대단한 사람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