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단독⚡ 스트라이프, 암호화폐 전략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차우진의 TMI.FM
[크리에이터의 오디언스에는 국경이 없다, 암호화폐도 그렇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서의 크리에이터는 단순히 개인 창작자에 그치지 않습니다. 크리에이터가 되는 것은 곧 인터넷 비즈니스를 차리는 것이고, 크리에이터는 곧 기업가라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인터넷의 GDP를 끌어올리겠다"는 스트라이프의 미션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와 잘 맞는다고 할 수 있죠. 스트라이프 창업자인 패트릭 콜리슨은 클럽하우스와의 파트너십 당시 "새로운 소셜 플랫폼이 내부 수익화나 광고보다 참여자 수익(*participant* income)에 우선 집중하는 게 멋지다. 급성장하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와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의 새로운 시대에 흥분된다"는 덕담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인터넷의 GDP를 끌어올리겠다'라는 미션 참 멋지지 않나요?
2021년 10월 26일 오후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