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가치를 이끄는 세 가지 요소> 1) 스케일 스케일은 콘텐츠가 시청자에게 도달하는 정도와 충성도를 의미합니다. TV 기준으로는 시청률과 화제성 지수, 디지털에서는 조회수, 시청 시간, 순시청자, 좋아요와 구독자 수 같은 것들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영화나 드라마에서 블록버스터급 콘텐츠가 드문 것처럼 디지털 역시 그정도의 스케일을 만드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일단 스케일을 만들어 내면 이기는 게임이기도 하죠. 콘텐츠는 기본적으로 단위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스케일을 얼마만큼 만들 수 있느냐가 콘텐츠를 만드는 제작자의 역량이자 나아가 제작사이자 미디어의 역할인 이유입니다. 2) 시간 <왕좌의 게임>은 방영 당시 한국에서도 많은 사람이 즐겨 보던 드라마지만 지금은 전혀 이슈가 되지 않습니다. 콘텐츠는 새로운 에피소드 방영 이후 며칠만 지나도 굉장히 빨리 관심이 사그라지는 속성을 지닙니다. 한국의 16부작 드라마의 경우 방영 기간이 8주인데요. 이 기간을 어떻게 가치 있게 활용해 수익으로 연결하느냐가 콘텐츠 가치로 이어집니다. 3) 독점(exclusivity & copyright) 플레이리스트가 만드는 콘텐츠는 모두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그리고 이 저작권이 바로 플레이리스트의 비즈니스 모델들을 전개해 나가는 데 기반이 됩니다. 플레이리스트는 IP를 누군가에게 양도하는 것이 아니라, IP를 갖고 ‘사업할 수 있는 권리`를 양도하거나 제휴를 맺음으로써 사업을 진행합니다.

5% 룰을 깨고 킬러 콘텐츠 꾸준히 만드는 비결

www.folin.co

5% 룰을 깨고 킬러 콘텐츠 꾸준히 만드는 비결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1월 3일 오후 1:3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레일즈와 카카오 문화

    ... 더 보기

    레일즈 철학과 카카오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레일즈 철학과 카카오 문화

     • 

    저장 6 • 조회 2,786


    < 퇴근길 작은 트럭에게 약속의 무게를 배우다 >

    1

    ... 더 보기

    한국 스타트업 & 인수합병 역사에 길이길이 남게될 deal. 알고보니 숨은 승자는 당시 딜을 뺏긴 네이버..?

    ... 더 보기

    카카오엔터, 美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 서비스 종료

    조선비즈

    카카오엔터, 美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 서비스 종료

    조회 326


    월급 루팡의 최후, SNS때문에 해고당했다!

    ... 더 보기

    “왜 나는 욱하고 말았을까?” “왜 나는 그렇게 화를 분출했을까?” 회의 중, 메신저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리더의 감정 폭발은 일순간에 리더십 전체를 흔들어놓는다. 그리고 회의가 끝나고 긴장이 풀리면 리더는 ‘지적의 정당성’과는 별개로 자신의 감정적 태도를 후회하고 자책한다.

    ... 더 보기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n.news.naver.com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브랜드 경영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경영자는 이 질문에 “브랜드를 운영하는 것”이라고 답한다. 이 답변에 재차 확인을 구하는 질문을 하면 멋쩍은 웃음과 함께 “브랜드를 ‘잘’ 운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 더 보기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The Unitas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조회 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