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게임을 해봤어요 :) 향수를 자극하는 볼링, 카드 등이 있어요. 이중 기묘한 이야기를 테마로 한 두 가지의 게임을 했습니다. 보도에 나온 것처럼 그래픽도 bgm도 픽셀 게임 시대 그대로 모바일로 옮겨 왔습니다. 대신 즐겨 보던 스토리를 직접 플레이 한다는 즐거움이 꽤 컸어요. 특히 두 게임 중 하나는 단계를 통과할 때마다 쓸 수 있는 캐릭터가 늘어나는 방식으로 진행 되는데요. 기묘한 이야기가 캐릭터를 잘 살리는 IP여서, 이런 방식을 통해 유저가 좀더 효과적으로 게이미피케이션을 느낄 수 있는 것 같았어요. 다른 IP를 활용하면 또 어떤 게임을 만들 수 있을지, 픽셀 뿐만 아니라 더 이머시브 한 게임은 구현할 수 있을지 궁금해졌어요. 여러분도 해보셨나요? :)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1월 14일 오전 7:4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간만에 개발 떡밥이(신난다) 이번엔 제가 소수 입장에 있는 ORM이군요. 후후..


    저는 몇몇 사건을 통해 ORM 반대주의자가 된 사람인데요.


    ... 더 보기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나는 가끔 조합형 한글의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한다.


    그 아름다움은 단순히 예쁜 글꼴이나 정갈한 종이 위의 자소 배열에서 끝나지 않는다. 진짜 매력은, 정밀한 정보 구조와 이산 수학적 규칙성 속에 숨어 있다.


    ... 더 보기

    DB 프로시저 싫어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Lambda/Serverless Function 이라고 생각해보십시오! 사실상 Serverless Function이랑 똑같은 것. Serverless Function도 싫어하시면 린정.

    조회 2,260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