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드박스 열풍을 지켜보며.. DeFi, Play to Earn, NFT 가 더 이상 풍문으로 들리는 트렌드가 아님을 실감한다. 동시에 이 열풍이 marcroeconomics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가 궁금. 일단 샌드박스 땅을 30만원일 때 사지 못한 게 천추의 한... (따지면 이런게 얼마나 많겠는가만은 ㅎㅎ)

삼뚝맨의 코테크 : 네이버 블로그

naver.me

삼뚝맨의 코테크 : 네이버 블로그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1월 26일 오전 1:00

조회 18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❶경영진이 인재관리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음(54%)

    ... 더 보기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데일리경제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 뇌를 가장 빠르게 바꾸는 3가지 방법 >

    1. 뇌를 재설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더 보기

    < 해결책 과잉 시대, 이제는 의미가 답이다 >

    1. 과거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해결책의 양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 더 보기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

    《23분》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