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퍼런스 콜을 할 때 스카이프를 사용 중인데, 줌이라는 솔루션이 요즘 인기라고 합니다. 코로나 19 이슈를 새로운 기회로 만든 기업이 있습니다. 지난해 상장한 클라우드 기반 화상회의 서비스 줌입니다. 올해 초 하루 사용자가 40배 가까이 상승했다고 합니다. 2개월 전 하루 글로벌 다운로드 수가 5만6000여 회였다고 하는데, 3월 하반기에 230만 회를 넘었다고 합니다. 컨퍼런스 콜의 대명사는 스카이프였는데, 스카이프보다 편하기 때문에 인기를 끌고 있는 것 같습니다. B2B 모델이라고 합니다. 무료 버전만으로도 100명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료 버전에서는 50명까지 사용할 수 있는 스카이프보다 두 배가 높네요. 카메라 앵글도 바꿀 수 있고, 여러 배경을 고를 수 있는 다양한 개인화 서비스도 있다고 합니다. 스카이프보다 사용성이 편하기 때문에 줌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기존 서비스의 불편함을 해결한다면 후발 주자에게도 기회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코로나 19 이슈 덕분에 또 하나의 기업이 주목받고 있는 사례입니다. 위기가 기회라는 말이 실감이 됩니다.

스카이프 대신 줌(Zoom)이 화상회의 앱의 대명사로 뜨는 이유

블로터

스카이프 대신 줌(Zoom)이 화상회의 앱의 대명사로 뜨는 이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3월 29일 오후 11:2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청년미래플러스 사업, 이전에 공유했었는데요.

    ... 더 보기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

    🙉 달레의 찐팬이 되어주실래요? 💕

    ... 더 보기

    🍨'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 더 보기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비즈니스워치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어떤 것은 다르게 살게 한다》

    ... 더 보기

    < 모든 시도는 둘 중 하나다. 성공하거나 배우거나 >

    1. 큰 수의 법칙. 시도가 많아질수록 결과는 평균에 수렴한다. 주사위를 많이 던질수록 각 숫자가 나오는 확률은 1/6에 가깝다.

    ... 더 보기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