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to acquire Activision Blizzard to bring the joy and community of gaming to everyone, across every device - Stories
Microsoft
커리어리 친구들, 오늘 IT소식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블리자드 액티비전을 82조로 인수한 소식이 가장 큰 뉴스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에 따른 몇가지 저의 인사이트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첫째, 마이크로소프트는 블리자드 액티비전을 합병함으로써, 전 세계 3위 게임 업체로 등극했습니다. 이는 소니, 텐센트 다음입니다. 그리고 북미 최대 게임 회사로 등극했다는 의미입니다. 그동안 마이크로소프트의 XBoX 및 Game Division 에서 게임 퍼블리셔 뿐만 아니라 마인 크래프트, 베데스타 등을 인수했는데, 게임 회사로는 최대 규모입니다. 둘째, XBox 게임패스가 이로써 더더욱 풍성해졌습니다. 아시다시피 블리자드 액티비전 게임으로 유명한 것이 '오버워치', '월드 오브 크래프트', '디아블로', '콜 오브 듀티' 등등 입니다. 이러한 게임들이 애저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에 PC 뿐만 아니라 XBOX 에서도 하나씩 포팅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국내는 PC방 위주 게임 위주이지만 미국과 유럽에서는 집에서 하는 게임 콘솔 위주로 소니 플레이 스테이션과 함께 대등하게 서며 게임 체인저로 등극하게 되었습니다. 셋째, 82조는 괭장히 큰 금액입니다. 놀라운 것은 모두 현금으로 82조를 주었다는 것 입니다. 그러나, 82조는 MS의 오피스가 두 분기만 벌어 드리는 매출액 밖에 안됩니다. 회사 전체 매출액이 아니라 오피스 제품 하나로 블리자드 액티비전 회사를 사고도 남는 금액을 벌어 들입니다. 스케일이 참으로 커다고 보아집니다. 참고로 국내 게임사 시총에 비하면, 넥슨(18조6천억원),엔씨소프트(12조6천억원), 넷마블(9조3천억원), 카카오게임즈(5조3천억원), 컴투스(1조6천억원), NHN(8천억원),네오위즈(7천억원) 정도 추정됩니다. 넷째, 닌텐도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를 판매하는 게임 회사 합병은 어렵고, 특히, 이번 합병에 고려된 점은 국가간의 합병이 아닌 미국 자국 내 게임 합병이기 때문에 승인 받기가 더 쉽습니다. 현재 ARM과 NVIDIA가 합병 반대로 미국, 영국, 중국에서 반대를 하고 있어서 난항을 겪고 있는 점을 뉴스에서 보았을 겁니다. 다섯째, 궁극적으로 메타버스 전쟁에서 콘텐츠를 중장기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는 확보했다고 봅니다. 인수합병 뒤 사티아 나델라 MS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게임은 오늘날 모든 플랫폼에서 가장 역동적이고 흥미로운 엔터테인먼트 분야입니다.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 입니다. “ 라고요, 구체적인 전략은 아직 밝히지 않았지만 메타 회사와 애플 중심의 메타버스 전쟁에서 MS가 참여한다는 선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MS는 XBOX and Game Division 을 확대하여 Microsoft Gaming division을 만들어 엑스박스 수장인 필 스펜서를 Microsoft Gaming의 CEO로 임명했습니다. 여섯째, 미국 게임 시장이 국내 게임 시장과 달라서 커다란 임팩트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국내 게임 회사들도 한국과 일본, 동남아 시장을 제외한 마켓이 더 넓은 중국이나 미국/유럽 콘솔 시장에 퍼블리싱 할 필요성이 보입니다. 왜나하면, 플랫폼이 PC, Mac, 게임 콘솔 등 모두 미국 빅테크들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곧 메타버스 VR/AR 시장으로 모두 넘어 갈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PwC에 따르면 메타버스 시장은 2021년 1,485억달러에서 2030년 1조5000억달러(약 1,788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022년 1월 19일 오전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