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TBC에서 보도한 기사다. 내용을 보면 별게 없다. 동물원이 돈이 없어 700마리를 안락사해서 다른 동물에게 먹이로 줄 것이라는 내용이다. 동물원장의 인터뷰 몇 줄이 있는 정도의 짧은 보도다. 이 기사만 보면 마치 동물원장은 사이코패스고 독일인들은 피도 눈물도 없어보인다. 문제는 이 기사의 출처가 뉴욕타임즈라는 것이다. 뉴욕타임즈는 이러한 케이스를 소개하면서 아래와 같은 내용을 전달한다. "동물원의 과감한 제안은 끔찍한 재정 상황에 관심을 기울이게 하는 것 뿐만 아니라 현대 시대의 기억에서 볼 수 없었던 판데믹 기간 동안 명소를 지키기 위한 청사진을 세우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나는 동물원장이 매우 이기적인 이유로 저러한 제안을 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한국에서도 돼지를 생매장 해야하는 일이 오면 잔인하는 기사 댓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정작 가장 고통 받는 사람은 실제로 돼지를 키운 사람이다. 자신이 키운 돼지를 생매장 해야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도축을 위해 키운 동물이라지만 일반적인 인간이라면 자신이 직접 키운 동물에 어떠한 감정을 느낄 수 밖에 없다. 하다못해 도축을 위한 동물도 그런데 동물원에서 키운 동물에 대해서는 아무런 감정이 없을까? 정작 저러한 결정을 내리고 그것을 실행으로 옮길 때 가장 고통스러운 사람은 동물원장일 것이고 사육사들일 것이다. 저 동물원은 1년에 15만명이 방문하는 독일의 명소 중 하나다. 최소 방문객 만으로 10억원 이상의 동물원 운영비를 충당한다는 뜻이다. 15만명이 오던 곳의 방문객이 0명이 되었고 정부나 시에서도 더 이상 펀드를 줄 수 없는 상황에서 동물원을 지키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 있을까? 물론 개인들에게 모금하는 것도 방법이겠지만 그것도 매우 일시적일 뿐이다. 아니면 그냥 다 안락사를 시키고 문을 닫는 방법이 있지만 이는 매우 쉽고 편리한 방법일 뿐이다. 이런걸 보면 인간들은 자신이 직접 격는 것도, 할 것도 아닌 일을 너무 쉽게 생각한다. 이것도 일종의 도덕적 우월감을 느끼는 것이고 한 명의 사람을 은근히 깔보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이중사고를 하는 동물이다. 완벽하게 객관적이 될 수는 없지만 조금 덜 주관적이 되는건 가능하다. 매사에 의심하고 훈련하고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이걸 요즘 말로는 공감능력이라고 하지 않나?

독일 동물원, 관람객 끊기자..."700마리 순서대로 안락사"

Naver

독일 동물원, 관람객 끊기자..."700마리 순서대로 안락사"

2020년 4월 18일 오전 6:12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

개발자를 위한 코딩테스트 필독 아티클 모음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보러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