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마켓의 기술 블로그를 보다가 좋은 내용이 있어서 가져 왔습니다. GeoLocation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주요 문제였고, 어떻게 해결 했는지? 그리고 테스트를 어떻게 진행 하였는지? 자세하게 소개가 되어 있습니다. 글을 읽다가 조금 생각해보면, 해당 팀의 업무 진행 방식 혹은 팀 문화를 엿볼 수 있게 되는 느낌을 받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일을 진행하고, 아쉬운 부분은 무엇이었는지? 향상 했던 것은 무엇인지? (이직하는 데에도 중요한 힌트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떤 업무를 했는데 코드를 작성하고, 테스트 해가면서 더 좋아지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팀내에 어떤 영향을 가지게 되는지? 더 멀리 보면 회사의 경쟁력이 어디서 오는 것인지? 생각도 조금은 해볼 수 있지 않을까요?

예측 가능한 대규모 서비스 개발하기

Medium

예측 가능한 대규모 서비스 개발하기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3월 21일 오후 3:0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바이브 코딩(vibe coding) 앱 ‘커서(Cursor)’를 서비스 중인 애니스피어가 약 90억달러(약 12조원)의 기업 가치로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이는 불과 넉달 전보다 세배 이상 상승한 수치로,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주목받는 AI 스타트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 더 보기

    애니스피어, '바이브 코딩' 앱 커서로 넉달 만에 기업가치 3배 증가

    AI타임스

    애니스피어, '바이브 코딩' 앱 커서로 넉달 만에 기업가치 3배 증가

    오늘 같은 날,다시 찾아보게 되는 산토리 위스키 일본광고 카피

    "

    ... 더 보기

    조회 136


    요구사항 정의 시 고객사 실무부서 간 의견이 상충될 때 대응방안

    이하 내용은 CASE STUDY 방식으로 정리한 가상의 시나리오입니다.  SI 프로젝트에서 이런 상황에 직면하면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좋을지 생각해 보세요.

    ... 더 보기

    시작이 그렇게도 어려운 이유?

    일, 사이드 프로젝트, 개인 브랜딩, 콘텐츠 제작
    이 모든 것에 걸쳐 사람들이 힘들어하는 건 뭘까요.

    ... 더 보기

    < 일을 미루는 사람들을 위한 현실적인 해결법 >

    1. 행동을 변화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점진적인 발전이다.

    ... 더 보기

    ⟪기획의 말들⟫ 출간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