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마켓의 기술 블로그를 보다가 좋은 내용이 있어서 가져 왔습니다. GeoLocation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주요 문제였고, 어떻게 해결 했는지? 그리고 테스트를 어떻게 진행 하였는지? 자세하게 소개가 되어 있습니다. 글을 읽다가 조금 생각해보면, 해당 팀의 업무 진행 방식 혹은 팀 문화를 엿볼 수 있게 되는 느낌을 받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일을 진행하고, 아쉬운 부분은 무엇이었는지? 향상 했던 것은 무엇인지? (이직하는 데에도 중요한 힌트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떤 업무를 했는데 코드를 작성하고, 테스트 해가면서 더 좋아지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팀내에 어떤 영향을 가지게 되는지? 더 멀리 보면 회사의 경쟁력이 어디서 오는 것인지? 생각도 조금은 해볼 수 있지 않을까요?

예측 가능한 대규모 서비스 개발하기

Medium

예측 가능한 대규모 서비스 개발하기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3월 21일 오후 3:0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동기부여는 세수하듯해라...250710

    1.●마인드를 바꾸는 순간 실행과 결과는 따라온다.
    2.능력은 욕망과 함께 온다.

    ... 더 보기

    “왜 나는 욱하고 말았을까?” “왜 나는 그렇게 화를 분출했을까?” 회의 중, 메신저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리더의 감정 폭발은 일순간에 리더십 전체를 흔들어놓는다. 그리고 회의가 끝나고 긴장이 풀리면 리더는 ‘지적의 정당성’과는 별개로 자신의 감정적 태도를 후회하고 자책한다.

    ... 더 보기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n.news.naver.com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 가장 예쁜 사람이 아니라, 1등 할 사람에게 투표하라 >

    1. 유명한 경제학자 케인스는 단기 투자 전략을 미인선발대회에 비유했다.

    ... 더 보기

    < 잡초를 없애려면 잡초 말고 오히려 잔디를 깎아야 한다 >

    1. 자기 철학이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그런 경지에 오르게 되는 것일까?

    ... 더 보기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