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Roche의 항체검사가 미국 FDA에서 긴급사용허가를 받았습니다. Roche는 이 진단키트를 빠른 시간 안에 수천만개 단위로 대량생산 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검사 키트를 통해 COVID-19에 감염되어 회복한 환자들이 항체를 가졌는지 아닌지 검사할 수 있게 됩니다. 이 항체 검사가 중요한 이유는 항체가 제대로 형성되어 감염의 위험에서 벗어난 사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뉴욕에서 실시한 무작위 항체검사에서 뉴욕시의 경우 21%의 사람들에게서 항체가 발견되었습니다(https://www.nytimes.com/2020/04/23/nyregion/coronavirus-new-york-update.html). 상당 수의 사람들은 자신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는지조차 모르고 지나갔으며 실제로 훨씬 더 광범위하게 이 바이러스가 퍼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무증상 감염자가 많기 때문에 사람들이 경제활동을 못하고 최대한 집에 머무르게 하는 전략을 쓸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만약 약국에서 살 수 있는 간단한 진단 키트로 내가 코로나 바이러스 항체를 가졌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면 어떻게 될까요? 경제를 언제까지나 멈추어 놓을 수는 없습니다. 만약 어느 시점에서는 경제를 다시 re-open해야 한다면, 하지만 치료제와 백신의 개발이 1년 이상 지연된다면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요? 단기적으로는 이미 항체가 있는 사람부터 경제활동을 시작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항체를 가진 사람에게 마치 증명서를 발급하는 형태의 접근에 우려를 표명합니다. 하지만 검사키트와 백신, 치료제와 함께 항체 검사가 국가 단위의 방역 전략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더 지켜 볼 필요가 있습니다.

Roche's COVID-19 antibody test receives FDA Emergency Use Authorization and is available in markets accepting the CE mark

Roche

Roche's COVID-19 antibody test receives FDA Emergency Use Authorization and is available in markets accepting the CE mark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5월 4일 오후 9:4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993


    회피를 해야 할까요? 방안을 찾아야 할까요?

    팀이나, 파트등의 조직에서의 생활을 하다 보면은 나의 의사와 다른 상황이 펼쳐지는 일이 꽤 많은 빈도로 발생이 되는거 같아요.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조직 생황을 하였지만 가장 어려운 것이 나의 의사와 다른 생각을 가지는 일들이 생기는 것들 같아요.

    ... 더 보기

    퍼스널 브랜딩의 불편한 진실

    회사에서 개인의 브랜드를 만든다는 것은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는 행위이다.
    이게 무슨 말일까?

    ... 더 보기


    < 사람은 ‘의견’을 지키는 게 아니라 ‘자존심’을 지킨다 >

    1. 우리는 어떤 저항감 없이, 심각한 감정의 동요 없이 생각을 바꾸기도 한다.

    ... 더 보기

    ⟪토스가 만든 리서치툴, TNS⟫

    ... 더 보기

    토스가 특허 낸 리서치툴, TNS (Toss Navigation Score) 제작기

    toss.tech

    토스가 특허 낸 리서치툴, TNS (Toss Navigation Score) 제작기

     • 

    저장 3 • 조회 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