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여 년 기자로 일하다 스타트업 생태계에 뛰어든 선보엔젤파트너스 심사역 최영진입니다. 전기차 vs 수소차... 9월 10일(현지시간)부터 22일까지 프랑크푸르트 모터쇼가 열립니다. 기사를 보니 전기차 관련 행사가 많은 것 같네요. 올해 세계 완성차 업체가 집중하는 것은 전기차인 것 같습니다. 테슬라 모델 S가 한국에 출시되면서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재정 문제 떄문에 복지부터 투자까지 대부분의 나라 경제를 민간 경제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정부 차원의 드라이브를 걸기 힘들기 때문에 전기차 시장에서 일본의 힘은 예상보다 크지 않을 것 같습니다. 문제는 세계 10대 완성차 기업을 가지고 있는 한국입니다. 현대차는 전기차와 수소차 투 트랙입니다. 그런데 선도적인 이미지를 갖기 위해 수소차에 더욱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도 어쩔 수 없는 일이겠죠. 현대차가 전기차보다 수소차에 집중을 하고 있으니 도와줘야 할 것입니다. 문제는 수소차 생태계가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현대차가 인프라 구축에 나서지 않기 때문입니다. 현대차는 테슬라에게 배워야 합니다. 테슬라가 한국에서 마니아를 보유하게 된 것은 슈퍼차저라는 주유소(충전소)를 스스로 설치했고, 이 때문에 서울에서 부산을 전기차로 오가는 게 어렵지 않다는 것을 홍보했기 때문입니다. 현대차에 아쉬워 것은 수소차 개발에는 적극적이지만 주유소(충전소) 설치에는 별 관심이 없다는 것입니다. 정부가 해주기만을 바라는 것이죠. 이건 좀 아닌 것 같습니다. 우선 현대차가 기본적인 인프라를 깔면 사용자는 늘어나게 됩니다. 그 후에야 정부가 나서서 지원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지는 거죠. 현대차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전혀 힘을 쓰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니 사용자는 계속 소수입니다. 만일 현대차가 한국을 수소차의 거점 나라로 만들고 싶다면 R&D 뿐만 아니라 수소차 관련 인프라 구축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봅니다. 현대차도 테슬라의 적극성을 좀 배울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부터 전기차 시대” 프랑크푸르트 선언

중앙일보

“오늘부터 전기차 시대” 프랑크푸르트 선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9월 10일 오후 11:2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최근 어떤 기업의 창업자가 고향 주민들과 지인들에게 최대 1억 원씩 총 1,400억 원을 나누어 주었다는 언론 보도가 화제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흔치 않은 ‘나눔’의 사례로 창업자가 도움받았던 사람들에게 보은하는 ‘감사의 정신’을 실천한 것이다.

    ... 더 보기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한국일보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어떤 것은 다르게 살게 한다》

    ... 더 보기

    연봉 올라가도 팀장처럼 되긴 싫어요 I MZ 퇴사 이유

    ... 더 보기

    5년전부터 트렌드나 사업전략 강연이나 멘토링, 컨설팅했을 때마다 점차 변화하고 있는 중장년과 시니어의 속성과 라이프스타일을 언급하면서 새로운 사업기회로 이야기해왔다. 일부는 감사하게도 그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주시고 사업아이템을 만들거나 피봇팅해서 현재 잘나가는 스타트업들도 몇몇 있다.

    ... 더 보기

    '액티브 시니어' 공략 잘한 스타트업, 4년새 매출 두배 커졌다 - 매일경제

    매일경제

    '액티브 시니어' 공략 잘한 스타트업, 4년새 매출 두배 커졌다 - 매일경제

    조회 856


    알람 소리에 반사적으로 일어나서 준비를 마치고 정신없이 이동하면 어느새 사무실 책상에 앉아 있게 됩니다. 동료들과 인사를 마치고 컴퓨터를 켜는 순간 업무는 시작되지요.

    ... 더 보기

    직장 다니면서 제대로 ‘현타’ 맞는 순간 7

    다음 - 피플앤잡

    직장 다니면서 제대로 ‘현타’ 맞는 순간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