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워크래프트 아이피로 디펜스RTS(클래시오브클랜류) 서비스를 만든다고 하는 걸 보면, 많은 게임사 전략이 구작의 세계관은 그대로 가져오되 게임성은 완전 새로운 방식으로 신규 유저를 태핑하는 전략을 취하는 것 같습니다. 이런 전략은 텐센트 (수퍼셀, 라이엇)가 시장에서 성공한 전략인데 근본적인 차이는 아이피 그 자체를 복사하는 게, 아니라 구작이 계속 돈을 벌어줄 정도로 고객 유치가 '현재 진행중인' 과정에서 신작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하면서 고객 유치 cost를 전반적으로 낮추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스타크래프트, 워크래프트, 디아블로같이 게임이 비연속적인 구간을 가진 (구작 런칭 이후 신작 개발 및 런칭까지) 블리자드가 아이피를 갖고 새로운 게임을 개발하는 건 겉모습은 아이피 부활이지만, 비즈니스 오퍼레이션 방식에서는 텐센트 (라이엇, 슈퍼셀)가 기존 게임 바탕으로 가지치기하는 전략과는 꽤나 차이가 있는 것 같네요. 결국 모든 회사 전략은 하나의 잘 하는 것에서 확장하는 것 아닌지 생각하게 됩니다. 따라하기도 어렵고요.

블리자드, 모바일 전략게임 ‘워크래프트 아크라이트 럼블’ 첫 공개

게임톡

블리자드, 모바일 전략게임 ‘워크래프트 아크라이트 럼블’ 첫 공개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5월 11일 오전 12:17

조회 92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좋은 질문은 틀릴 수 있는 질문이에요 >

    1. 질문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이어야 하고, 그 대답은 ‘틀릴 수 있어야’ 합니다.

    ... 더 보기


    바이브 코딩을 여러가지 카테고리에 적용해보고 있는데, 머신러닝쪽은 압도적으로 좋네요. 진짜 코드를 안 봐도 될 정도임.


    심지어 머신러닝 연구 작업 특성상 코드를 안봐도 되니까 실험하는게 겁나 재밌어짐. 미쳤음. GPU 무한대로 준다는 말에 혹한다는 것이 완전 이해가 됨.


    < 제프 베조스는 왜 하루에 3번만 결정할까? >

    1. 2~3년 앞을 생각한다면 왜 오늘 100개의 결정을 해야 할까요?

    ... 더 보기

    《편의성보다 우선해야 할 인간적 접촉》

    ... 더 보기

    요즘 Claude Code와 OpenAI Codex를 진짜로 말로만 코딩하는 실험을 주기적으로 하고 있는데, 어제 Claude Code와 Codex를 통해 꽤 복잡한 개발을 처음으로 성공했다.


    Claude로 만든 건 아주 기본 기능만 있는 코드에 알고리즘을 확장하고 테스트용 프론트엔드를 만드는 것. 한두줄 정도만 직접 수정을 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