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시부야의 유명 음식점 중에서도 현금 결제만 가능한 곳이 있습니다. 카드보다는 현금을 더 선호하는 곳이 일본입니다. 스타트업의 지원도 정부가 아닌 민간기업의 몫이 된 곳이 일본입니다. 100원 택시, 1000원 여객선이라는 노인 복지를 일본의 지자체는 꿈을 꾸지 못한다고 합니다. 돈이 없어서요. 선진국이라는 일본의 민낯입니다. 일본에 진출한 한국 스타트업을 취재하기 위해 도쿄에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흥미진진한 스토리를 듣느라 시간 가는 줄 몰랐습니다. 특히 일본에 대해 모르는 것이 있는지라 일본 사회의 특성에 대해서도 여러 가지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현금 결제가 왜 선호되는지, 스타트업 투자 시장의 특징, 인터넷 사용률이 떨어지는 이유 등 다양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일본 사회의 특징을 실감한 것은 저녁 식사를 하기 위해 방문한 시부야의 유명 식당입니다. 꼬치구이 집이더군요. 관광객이 많이 온다는 곳입니다. 그런데 카드 결제가 안 되고 무조건 현금으로 내야 한다고 합니다. 관광객이 많이 오는 식당에서 말이죠. 현금 선호를 하는 일본 사회의 특성을 미리 들었지만, 관광객에게도 유명한 식당에서 오로지 현금만 내야 한다는 것을 직접 보니 이해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일본에서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지원은 정부의 역할은 거의 없다고 합니다. 기업들이 대부분 지원을 하고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민간 위주의 스타트업 생태계라는 의미도 있지만, 실제로 정부가 돈이 없기 때문에 투자를 못 하는 것도 있습니다. 우리는 지자체마다 복지 제도가 어느 정도 갖춰져 있습니다. 100원 택시라는 것도 있죠. 도쿄의 한 대학의 한국인 교수에게 모빌리티 시장에 대한 강의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지방의 노인들이 비싼 택시를 타고 다녀야만 하는 문제를 모빌리티 서비스로 해결해보고자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왜 노인을 위한 복지 제도가 없느냐'라는 질문이 자연스럽게 나왔습니다. 답변은 지자체에 돈이 없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나왔습니다. 일본 사회는 역동성이 거의 없습니다. 하나의 시스템을 사용하면 바꾸는 데도 너무나 오래 걸립니다. 정치만 봐도 그렇죠. 1960년대 전학공투회의(일면 전공투) 이후 변변한 학생 운동 세력이 존재하지 못했습니다. 일본의 정치는 세습 정치입니다. 그냥 정치인의 자식이니까 물려받아서 정치를 이어갑니다. 코로나 19로 우리는 일본의 민낯을 보게 됐습니다. 변화와 혁신에 대한 무관심이 만들어낸 사회는 이렇게 초라해지는 것 같습니다.

'서류의 나라' 日 배급받듯 긴줄...재난지원금 앱 신청 韓에 또 졌다

동아일보

'서류의 나라' 日 배급받듯 긴줄...재난지원금 앱 신청 韓에 또 졌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5월 21일 오전 2:1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전시회 부스 K31: VLM OCR 집중 시연

    ... 더 보기

    조회 26


    사모펀드(PEF) 운용사 VIG파트너스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약 40% 인수를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 더 보기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인수에 UAE 무바달라·골드만삭스 참여…1조원 투자 추진 - 매일경제

    매일경제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인수에 UAE 무바달라·골드만삭스 참여…1조원 투자 추진 - 매일경제

    조회 577


    우리가 하는 ‘회사 일’은 대부분 사람으로부터 배우게 된다. 그만큼 그 일을 가르쳐 주는 이가 누구인가에 따라 나의 퍼포먼스도 일부 결정된다. 그(녀)가, 나를 키우려는 능력과 자질, 충분한 노력을 하려는 사람인지 아닌지에 따라 나의 실력은 평범해질 수도 혹은 일취월장하여 청출어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 더 보기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 

    조회 391


    최근 어떤 기업의 창업자가 고향 주민들과 지인들에게 최대 1억 원씩 총 1,400억 원을 나누어 주었다는 언론 보도가 화제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흔치 않은 ‘나눔’의 사례로 창업자가 도움받았던 사람들에게 보은하는 ‘감사의 정신’을 실천한 것이다.

    ... 더 보기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한국일보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세상 가장 어려운 일

    

    ... 더 보기

    조회 1,039


    아직도 루비 온 레일즈

    ... 더 보기

    Ruby on Rails #46번째 소식

    Ruby on Rails 소식지

    Ruby on Rails #46번째 소식

     • 

    저장 3 • 조회 2,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