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가 디지털 콘텐츠를 완성시킵니다> 1. 깡 등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소위 ‘고인물’ 콘텐츠들이 M·Z세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는, 바로 댓글 때문이다. 2. 요즘 댓글은 단순히 소감 정도에 그치지 않고 대댓글, 대대댓글로 이어진다. 특히 채널 운영자를 중심으로 구독자들이 하나의 커뮤니티로 기능하는 유튜브상에선 댓글 소통이 더 활발하다. 그렇기에 시청자들이 남긴 자발적인 코멘트가 일종의 놀이가 되고 때론 새로운 의미를 창조한다. 3. 한마디로 댓글이 ‘콘텐츠’가 되는 시대다. 온라인상에서 갖가지 콘텐츠를 소비하는 M·Z세대의 라이프 스타일은 예상치 못한 콘텐츠의 유행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4. 2017년 공개 당시 흥행에 실패했던 ‘깡’ 뮤비가 3년여가 지나 다시금 주목받고 있는 건 M·Z세대의 시선으로 재해석되면서다. 5. 반복적 감상과 이어지는 댓글들이 맞물려 밈(Meme)으로 진화됐고, 그 과정에서 중독 증세를 ‘1일 1깡’이라 부르며 비의 익살스러운 행동과 표정을 따라하는 다양한 놀이 챌린지를 이어갔다. 6. (이처럼) M·Z세대가 주도하는 이러한 댓글 놀이는 단순히 유행을 넘어 새로운 콘텐츠 시장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댓글이 캐리하는 콘텐츠 세상

The PR 더피알

댓글이 캐리하는 콘텐츠 세상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5월 26일 오전 1:5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❶경영진이 인재관리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음(54%)

    ... 더 보기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데일리경제

    [변화디자이너 허일무의 리더십체인지] 인재육성의 리더십(1)

    Meta SWE 면접 합격 후기

    ... 더 보기

    Meta SWE 면접 합격 후기

    www.nyprogrammer.com

    Meta SWE 면접 합격 후기

    ‘명 선수는 명 감독이 될 수 없다’라는 말이 있다. 선수로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이 감독이 되었을 때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았기에 생겨난 말이다. 신이라 불리던 디에고 마라도나도 아르헨티나 국가대표 감독을 맡았지만 남아공 월드컵에서 그들 기준에 한참 못 미친 8강에 그쳤다.

    ... 더 보기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패스트캠퍼스 미디어

    마라도나는 실패하고, 지단은 성공한 이유 - 왜 능력있는 팀원이 좋은 리더는 되기 어려울까?

    조회 318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4 • 조회 1,596


    《희고 흰, 흰색에 흰색》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