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 모델을 도입하기 전에 알아야 할 몇 가지> 1. 구독 중심의 뉴스룸은 단순한 트래픽 유발이 아니라, 충성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알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2. 이를 위해선 반드시 '대시보드'가 필요하고, 이 대시보드에는 모든 기자들이 접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자들은 독자들이 어떤 기사를 많이 읽는지, 어떤 기사가 구독을 유발하는지를 계속해서 확인해야 합니다. 3. 유료 구독자만 볼 수 있는 '구독자 전용 콘텐츠'는 새로운 구독자를 만드는데 가장 강력한 방법이지만, 동시에 이 방식은 잠재적인 구독자에게 기사가 덜 유통되는 단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4. 따라서 초기에는 잠재적 구독자들에게도 기사가 유통될 수 있도록 '구독자 전용 콘텐츠'의 비율을 낮게 한 다음에, 서서히 올려나가는 것이 더 유효한 전략일 수 있습니다. 5. 또한, 구독 중심의 모델에서는 콘텐츠 제작자뿐 아니라, 프로덕트 관련 인재들도 뉴스룸에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6. CMO는 더 많은 독자를 데려오기 위해 큰 전략을 짜야 하고, '그로스 마케터'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떤 프로모션을 해야 더 많은 구독자를 모을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 계속 실행해야 합니다. 7. '프로덕트 매니저'는 서비스의 전반적인 퀄리티를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하고, '멤버십 에디터'는 콘텐츠와 프로덕트의 중간에서 가교 역할을 해야 합니다. 8. 이처럼 프로덕트 관련 인재들이 자신의 몫을 다해야 구독 모델은 잘 굴러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언론사에서 이런 프로덕트 관련 인재를 뽑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고, 9. 따라서 현재 뉴스룸에서 가장 귀한 인재는 (기자가 아니라) '프로덕트 관련 인재'입니다.

'구독전략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디지데이 가이드 요약

미디어고토사(Mediagotosa) - 저널리즘, 미디어 기술&비즈니스를 분석하는 미디어

'구독전략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디지데이 가이드 요약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5월 31일 오후 10:5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NotebookLM 해설 - 진격의 AI, 개발자는 자멸할까?

    G

    ... 더 보기

    - YouTube

    youtu.be

     - YouTube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

    이력서에 쓰는 경험

    

    ... 더 보기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나는 가끔 조합형 한글의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한다.


    그 아름다움은 단순히 예쁜 글꼴이나 정갈한 종이 위의 자소 배열에서 끝나지 않는다. 진짜 매력은, 정밀한 정보 구조와 이산 수학적 규칙성 속에 숨어 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