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방법론 선정, 세계적인 UX멘토 닐슨노먼그룹이 떠먹여 드립니다🥄] ✏️ "시작이 반이다" 라는 기억도 안 나는 어린 시절부터 듣던 말이 있습니다. 돌이켜 생각해보니 그만큼 시작의 첫 걸음을 신중하게 계획하여 내딛어야 한다는 말로 들립니다. UX리서처에게 있어선 문제 정의와 함께 어떤 UX방법론을 사용할지 정하는게 프로젝트의 첫 걸음이 되겠죠. ✏️ 알맞은 UX방법론 선택을 도울 닐슨노먼그룹의 글을 소개합니다. 비슷비슷하게 느껴지는 방법론들 속에서 머리가 아팠다면 이 글을 참고해보시는게 어떨까요?

A Guide to Using User-Experience Research Methods

Nielsen Norman Group

A Guide to Using User-Experience Research Methods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8월 31일 오전 8:3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낙담의 순간에 마음에 스며드는 햇빛》

    ... 더 보기

    ⟪오늘 하루 문득 든 생각⟫

    ... 더 보기

    《행복의 증거를 보여주는 단서들》

    ... 더 보기

    테레사 토레스의 책 <지속적인 제품 발견의 습관(Continuous Discovery Habit)>을 리뷰하는 유튜브 영상을 촬영했습니다. 책 전반적인 내용은 초반에 간단히 언급하고, 아래와 같은 내용을 영상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1. 목표 설정을 통해 Business outcome, product outcome 정의
    2. 프로덕트 트리오 소개
    3. Shared experience map을 통해 공통의 지식 쌓기
    4. 스토리를 발굴하는 고객 인터뷰의 원칙

    ... 더 보기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이 문제는 왜 해결해야 하죠?” 토스페이먼츠의 Product Manager는 늘 이 질문에서 시작합니다. 화면을 기획하거나, 기능을 정리하는 일보다 먼저 우리는 문제의 본질을 정의하고 싶은 사람들입니다. 그렇다면 ‘문제의 본질’부터 고민하는 토스페이먼츠의 PM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일하고 있을까요? 토스페이먼츠 PM 김명훈님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세요.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toss.im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