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협상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 업데이트 버전]

같은 회사에 같은 일을 하는 사람보다 더 적게 받는다면 화나지 않나요? 올해 초부터 연봉 협상에 대해 꾸준히 포스팅을 많이 했습니다. 이번에는 제가 겪은 일과 최근 유튜브 영상에서 들은 것 (다음 포스팅 주제)을 포함해서 업데이트 한 내용 공개합니다. 1️⃣ 💵 당신이 연봉 협상의 신이 되어야 하는 이유 (본인 경험담) https://careerly.co.kr/comments/49342 연봉 협상을 하지 않아 불이익을 봤던 경험담을 모은 포스팅입니다. 똑같거나 비슷한 불이익을 안 당하려면 경험담 읽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2️⃣ 💵 당신이 연봉 협상의 신이 되어야 하는 이유 2탄 - 협상 팁 https://careerly.co.kr/comments/49422 예전에 올렸던 연봉 협상 팁입니다. 덕분에 생활비가 미국에서 가장 비싼 실리콘 밸리에서 캐나다로 이민 갔을 때 협상을 통해 당시 지역 평균보다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몇 가지 업데이트하자면: 1️⃣ 리스트에 언급한 4번 포인트 관련 업데이트입니다. 한 회사에서 오래 근무한 경우, 새로 입사한 개발자보다 같은 직급의 같은 일을 하더라도 연봉 차이가 크게 날 수 있습니다. 이는 회사에서 주는 스톡 옵션 지급 스케줄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매년 크게 증가하는 개발자 연봉 때문일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공유할 16년 차 개발자가 해준 조언 중 하나는 현재 근무하고 있는 회사와도 연봉 협상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전에 공유한 사이트에서 연봉 정보 사이트에서 평균 또는 탑 % 연봉을 찾아보고 그에 비해 현저히 적다면 무조건 협상을 해야 합니다. 해외 개발자의 실제 연봉 데이터는?: https://careerly.co.kr/comments/49341 2️⃣ 리스트에 언급한 2번 포인트 관련 업데이트입니다. 연봉 협상할 때 카운터 오퍼를 안 보여 줘도 되는데, 최근 몇 개월 블라인드에 따르면 요즘은 회사에서 카운터 오퍼 스크릿 샷을 보내라고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 최근 겪은 일 예전 포스팅 이후 연봉 협상을 진행할 일이 생겼었습니다. 당시 이직 열풍이 불었고 비슷한 시기에 이직한 친구들의 연봉을 알게 되었습니다. 적지 않은 충격을 받고 다른 포스팅에서 언급한 팁으로 현 회사와 연봉 협상을 진행하였습니다. 최근 블라인드를 보면 알겠지만 한 회사에 오래 머무를 경우 새로 입사한 개발자들에 비해 낮은 연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건 특정 회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겪는 이슈입니다. 이런 경우에도 fair pay (정당한 보수)를 위해 연봉 협상을 꼭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직만큼 한 번에 크게 연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은 많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아주 조금 더" 많은 돈을 받기 위해 이직하는 것도 좋은 방법은 아닌 것 같습니다. 이에 관련된 이야기는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어 볼게요!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개발자의 공부법 - 뭘 공부해야 되지?] https://careerly.co.kr/comments/67013 [미국과 캐나다 근무 환경 차이점?] https://careerly.co.kr/comments/49340 [알고리즘 문제 풀기 공부하는 법] https://careerly.co.kr/comments/60668 [15년 경력, 40대 개발자의 조언] https://careerly.co.kr/comments/60889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9월 12일 오후 4:07

 • 

저장 74조회 4,96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 

    저장 1 • 조회 2,884


    📝 코딩용 에디터 AI 비교 (한줄요약)

    오랜만에 에디터의 AI 기능들을 실제 프로젝트에 사용해본 경험 메모. 개인 취향이 크게 반영된 평가입니다.

    ... 더 보기


    딥러닝/LLM 모델은 기본적으로는 Stateless한 상태지만, 대부분 프롬프트와 출력을 계속 되먹임하면서 작업을 이어가기 때문에 여러 턴으로 이루어진 태스크에서는 Stateful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것을 In-context learning 이라고 합니다.


    ... 더 보기

    < 슬랙은 어떻게 '작게 시작해서 크게 성공'했나? >

    1. 원자 네트워크를 구축하려면 다양한 도구를 뒤섞어야 한다.

    ... 더 보기

    소문은 이미 듣고 있었지만 공식 수치로 보게 되니 정말 어마어마하구만. 역시나 돈을 벌려면 인간의 본능과 탐욕을 기반으로 공포심을 자극해서 판타지를 제공하고 다단계 구조를 짜고 사이비종교 스타일로 이끌어야한다. 비꼬는게 아니라 그게 정답이다. 교육과 컨설팅

    ... 더 보기

    월급쟁이부자들, 매출 508억·영업이익 283억 달성

    벤처스퀘어

    월급쟁이부자들, 매출 508억·영업이익 283억 달성

    조회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