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턴이 쏘아 올린 작은 공 (2): 푸틴, 트럼프 그리고 핀란드] 존 볼턴 전 미국 국가안보 보좌관의 자서전이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곳 핀란드에서도 다른 의미로 이목을 끌고 있네요. 1. 재작년 2018년,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핀란드를 방문했었습니다. (후... 이때 헬싱키 곳곳에 군용 헬리콥터가 날아다니고 좀 무서웠더랍니다.) 존 볼턴의 자서전은 이때의 비화까지 담고 있다고 합니다. 허허... 이 분 책에 못 쓰는 말이 없으시네요;; 2. 볼턴의 자서전에 의하면, 2018년 핀란드 니니스퇴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의 회동 앞둔 트럼프 대통령에게 살포시 '조언'을 했다고 합니다. 푸틴 대통령이 강하게 나올 경우 허를 찔러 반격할 것, 푸틴 대통령에게 예의를 차려 그의 신뢰를 얻으면 변수가 생길 것이며, 긴 힘겨루기가 예상되니 절대 푸틴을 상대로 열린 대답이나 약조를 하지 말 것... 등. 나아가 니니스퇴 대통령이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할지 말지 두리뭉실하게만 대답했다는 것이 담겨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트럼프와 니니스퇴 대통령 간의 대화가 사뭇 '못 마땅했다'라는 어조로 책이 쓰였다네요. 하이고... 3. 핀란드 사는 입장에선... 이 책이 다소 무례한 것이 아닌가 생각도 듭니다. 핀란드는 옆에 러시아가 있고, 반대쪽에는 스웨덴과 독일 그리고 유럽연합이 있습니다. 이 미묘한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핀란드는 오랜 세월 강대국들의 전쟁 무대가 되어왔습니다. 그래서 어떻게든 핀란드 땅에서 어떠한 전쟁도 일으키지 않게 하기 위해 노력 중이죠. 핀란드가 NATO에 가입하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죠. 4. 이 와중에 존 볼턴의 자서전은, 푸틴의 뒤에서 미국에게 '조언'을 하는 핀란드의 모습이 담긴 셈입니다. 그리고 핀란드의 NATO 가입을 부추기고 싶은 미국 강경파의 시각도 담겨있고요. 당장 러시아가 이를 두고 무어라 할 것 같진 않지만... 그래도 정상 간의 물밑 협상 이야기가 갑작스럽게 공개된 것이 마냥 좋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혹여라도 이것이 핀란드 내부 정치, 핀란드-러시아, 그리고 러시아-유럽연합 간 관계에 나비효과를 일으키진 않을까 살짝 긴장되네요. 여담) 큰 나라 사이에 낀 작은 나라는 참 서럽습니다 ㅠㅠ

Monday's papers: Split on bailouts, holiday fatalities, advice to Trump

News

Monday's papers: Split on bailouts, holiday fatalities, advice to Trump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6월 22일 오전 8:3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3 • 조회 1,336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

    ... 더 보기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한때 천만원에 거래되었던 Manus, Bedrock 무료 오픈소스로 공개

    ... 더 보기

    LinkedIn

    lnkd.in

    LinkedIn

     • 

    저장 17 • 조회 1,338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