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질문자님 추측이 맞습니다. 노션이 큰따옴표를 다른 코드로 변환하고 있네요. 일반 큰따옴표는 유니코드 22(16진수)인데, 노션이 지맘대로 바꿔버리는 큰따옴표는 201C와 201D입니다. 자세히 보면, 큰따옴표로 열고 닫는 기호가 살짝 다릅니다. 이게 여닫는 느낌이 있어서 이뻐서 그렇게 처리한 게 아닐까 합니다. 사람 눈으로 보기에야 (거의) 똑같지만,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나 쉘에서 인정해주는 큰따옴표 코드는 아니죠. https://unicode.org/charts/PDF/U0000.pdf 유니코드 기호 테이블 표에 보면 3페이지에 double quote의 종류들이 나와있습니다. 거 참 많기도 하네요. * preferred characters in English for paired quotation marks are 201C “ & 201D ” 해당 유니코드 설명에 위와 같이, 영문에서 쌍으로 감쌀 때는 201C와 201D로 감싸는걸 추천하는 것 같으니, 노션이 그렇게 잘못한 것 같지는 않습니다. 개발자가 복붙하기에는 좀 괴로움이 있지만요. (작은 따옴표를 쓰시라 추천드리려 했더니, 노션이 작은 따옴표도 바꿔치고 있네요. ㅎ) 자, 그럼 질문자님께 역질문. 캡처하신 이미지에서는, 쓰고 계신 zsh에서 npx로 실행하면서 파라미터로 mydog://history라는 URI를 전달한 건데요, 왜 큰따옴표로 감싸려 했고, 어떻게 무엇이 어디까지 전달됐고, 왜 안 된 걸까요? 노션의 큰따옴표를 의도대로 이해하지 못한 건, npx입니까, zsh입니까, 아니면 iOS시뮬레이터입니까? 암튼, 일일이 다 신경쓰는 것도 에너지 낭비가 크지만, 그렇다고, 크게 신경쓰지 않고 넘어가는 건, 개발자에게 별로 좋은 습관은 아닙니다. 적절한 균형이 필요하고, 저연차일수록 낭비가 있을지라도 더 파헤치는 쪽에 치우치면 좋다고 생각해요. 예리하게 글꼴차이를 잡아낸 점에서 훌륭한 개발자의 자질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 그렇게 잘 안되는 부분이나 모르는 게 나왔을 때 호기심 살려서 조금씩 더 알아보면 그런게 쌓여서 내공이 되는 거죠. 한편, 처음 배울 때는 너무 세세하게 파고들면 진도가 안 나가니, 적정선에서 조율하는 게 중요하겠습니다. 한편, 이거는 좀 지나치게 많이 알아본 TMI인데, 노션에서 코드 붙여놓고 복붙하며 쓰려면, /code 섹션에 코드를 담으면 됩니다. 코드 섹션에 치는 큰따옴표 등은 다른 코드로 치환되지 않습니다. 코드를 직접 확인해보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저는 제가 쓰는 스칼라에서 아래 코드를 입력해서 확인해보았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23일 오후 4:56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개발자 생산성 높여주는 무료 맥 앱 7가지

    M

    ... 더 보기

    개발자 생산성 높여주는 무료 맥 앱 7가지 | 요즘IT

    요즘IT

    개발자 생산성 높여주는 무료 맥 앱 7가지 | 요즘IT

     • 

    저장 60 • 조회 3,520


    리더. 국어사전을 보면 조직이나 단체에서 전체를 이끌어가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지식백과사전에는 어떤 조직이나 단체에서 목표의 달성이나 방향에 따라 이끌어 가는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 구성원들에 대한 결정의 책임을 지고 또한 집단 외부와의 조정 기능의 역할도 하는 사람이라고 되어 있다.

    ... 더 보기

    [시사뉴스] 【박성태 칼럼】 리더가 독재를 하게 되는 두가지 이유

    www.sisa-news.com

    [시사뉴스] 【박성태 칼럼】 리더가 독재를 하게 되는 두가지 이유

    React 면접 전 살펴보기 위한 Q&A 40가지 (2024년 ver)

    1. R

    ... 더 보기

    Top 40 ReactJS Interview Questions and Answers in 2024 | Simplilearn

    Simplilearn.com

    Top 40 ReactJS Interview Questions and Answers in 2024 | Simplilearn

     • 

    댓글 1 • 저장 218 • 조회 11,582


    📢 실무 프로젝트로 성장하고 싶은 주니어 개발자 분들에게

    ... 더 보기

    패스트캠퍼스 : INNER CIRCLE | 패스트캠퍼스

    bit.ly

    패스트캠퍼스 : INNER CIRCLE | 패스트캠퍼스

     • 

    저장 73 • 조회 5,803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청년미래플러스 사업, 이전에 공유했었는데요.

    ... 더 보기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청년미래플러스 참여 재직자 1기 모집

    🤔 API 키와 토큰의 차이

    ... 더 보기

    API keys vs tokens - what's the difference?

    Medium

    API keys vs tokens - what's the difference?

     • 

    저장 313 • 조회 9,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