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기술스택은 취업준비생에게 고민되는 요소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회사에사 사용하는 기술스택에 대한 경험이 없을 경우 바로 서류탈락 되는 경우도 흔하기 때문이겠죠. 저는 일단 현실적으로는 스프링을 한번 쯤 사용해보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저 단순히 사용하시기 보다는 사전조사와 논리적 사고 도출이 필요하다고 느낍니다. 현재 사용하고 계신 노드와 몽고db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얘기입니다. 어떤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그에 적합한 이유가 필요합니다. "단순히 팀의 기술스택에 적합해서..." 라는 이유는 아무래도 취약하겠죠. nodejs와 mongodb의 경우 MERN 스택이 있으니 제한된 시간내의 단순한 로직을 빠르게 개발하기 위함이라던지, Spring을 사용할 경우에는 테스트코드를 유연하게 작성할 수 있고 예민한 기능에 대해 트랜잭션을 세세하게, 제약을 이용할 수 있다 라는 등의 기술 선택 이유를 말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단순히 개발뿐만 아닌 이전 단계에서부터 계속 고민하고 그 결과를 말할 수 있다면 본인의 성장 뿐만 아니라 취업에서도 큰 강점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화이팅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26일 오후 11:06

조회 20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AI 시대, 데이터 분석에 대해 새롭게 정의해야 하는 이유

    AI 시대를 맞이하면서 우리는 다양한

    ... 더 보기


    퇴근길 지하철에서 중년 사내와 20대 후반의 한 젊은이가 필자의 앞에 나란히 앉아 있었다. “자리가 사람을 만드는 법이지.” 중년 사내가 젊은이에게 건네는 말 한마디가 내 귀에 들려왔다. 그 순간 나는 묘한 추억에 빠져들었다.

    ... 더 보기

    [김인수 기자의 사람이니까 경영이다]자리가 무능한 사람을 만든다는데 - 매일경제

    매일경제

    [김인수 기자의 사람이니까 경영이다]자리가 무능한 사람을 만든다는데 - 매일경제

    장안의 화제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제작 기간은 4.5년, 구상 단계부터하면 9년. 제작비는 약 1천억원($70M+) 수준.


    역시 뭐든 금방 쉽게 되는 건 없다. 생각보다 엄청난 자금이 들어갔다는 것이 놀라우면서도 부러운 부분. 역시 글로벌이 답이다.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더 보기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taetaetae.github.io

    퇴사 부검 : 네이버를 떠나며

     • 

    저장 22 • 조회 1,634


    살아있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