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의 다음 경쟁자는 소셜이나 비디오 앱일 것이다! 미국 유명 벤처캐피털 a16z의 파트너 Connie Chan은 새로운 이커머스 트렌드로 소셜과 비디오를 꼽았습니다. 소셜과 비디오가 이커머스의 핵심이 될 이유 1. 소셜 팔로워는 자연스럽게 상품 홍보 대상이 됨 2. 소셜 사용자는 새로운 정보를 발견하려는 동기가 있음 → 새로운 제품 추천하기 좋음 3. 비디오는 상품을 팔기에 좋은 포맷 (언박싱, 데모, 배경 설명 등) 4. 라이브 → 프로모션이나 실시간 Q&A에 적합 Chan은 아마존이 이런 트렌드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존의 텍스트, 검색 위주의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이 새로운 제품을 발견할 수 있는 서비스가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특정 상품을 살 의도가 딱히 없어도 백화점에 가는 것처럼, 단순히 새로운 걸 발견하기 위해서 앱을 열게 해야 해야 한다는 거죠. 그렇다면 소셜 서비스들은 왜 다들 커머스에 뛰어들려고 하는 걸까요? 1. 광고의 가치를 올릴 수 있다 2. 커머스 서비스를 추가하여 사람들이 앱에 더 오래 머물게 한다 3. 사용자들이 결재 정보를 저장하게 한다 → 다른 서비스로 확장할 수 있는 발판 4. 인플루언서들이 돈을 벌 수 있게 하여 계속해서 콘텐츠를 만들게 한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소셜/비디오 커머스는 미국보다 한국이나 중국에서 훨씬 발달했다고 생각합니다. Chan이 글에서 언급한 중국의 타오바오나 한국의 블랭크가 좋은 예시겠죠. 최근 허재원님께서 퍼블리 뉴스에 공유하신 네이버 커머스 관련 기사에서도 라이브 커머스가 중요한 내용 중 하나였습니다. 한국과 미국의 빅테크들이 커머스 전략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비교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Connie Chan이 올린 원문 트윗 링크: https://twitter.com/conniechan/status/1266476997699493889?s=20

The Video-First Future of Ecommerce - Andreessen Horowitz

Andreessen Horowitz

The Video-First Future of Ecommerce - Andreessen Horowitz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8월 6일 오전 5:5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왜 나는 욱하고 말았을까?” “왜 나는 그렇게 화를 분출했을까?” 회의 중, 메신저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리더의 감정 폭발은 일순간에 리더십 전체를 흔들어놓는다. 그리고 회의가 끝나고 긴장이 풀리면 리더는 ‘지적의 정당성’과는 별개로 자신의 감정적 태도를 후회하고 자책한다.

    ... 더 보기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n.news.naver.com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동기부여는 세수하듯해라...250710

    1.●마인드를 바꾸는 순간 실행과 결과는 따라온다.
    2.능력은 욕망과 함께 온다.

    ... 더 보기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 잡초를 없애려면 잡초 말고 오히려 잔디를 깎아야 한다 >

    1. 자기 철학이 있는 사람들은 어떻게 그런 경지에 오르게 되는 것일까?

    ... 더 보기

    < 가장 예쁜 사람이 아니라, 1등 할 사람에게 투표하라 >

    1. 유명한 경제학자 케인스는 단기 투자 전략을 미인선발대회에 비유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