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에 이어, 디지털 콘텐츠 시장도 조금씩 장악하고 있는 네이버와 카카오> 1. 카카오가 2분기에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최고 실적을 올렸다. 얼마 전 실적을 발표한 네이버도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2. COVID-19의 영향으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온라인 쇼핑, 콘텐츠, 광고 분야가 성장한 덕분이다. 3. 특히 콘텐츠 분야의 성장이 눈이 띈다. 카카오의 콘텐츠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4602억 원을 기록했다. 카카오의 경우 카카오재팬의 일본 내 웹툰 서비스 ‘픽코마’의 거래액이 전년 대비 약 2.5배로 성장했다. 4. 카카오는 콘텐츠 사업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드라마, 예능 등 자체 제작 콘텐츠를 카카오톡에서 감상할 수 있는 ‘카카오톡TV’를 하반기에 선보일 계획이다. 5. 네이버 역시 글로벌 월간이용자(MAU)가 6400만 명에 달하는 네이버웹툰의 본사를 미국으로 옮겨 유럽과 남미 등 신시장을 공략하는 방안을 준비 중이다. IT 업계 관계자는 “수년 전만 해도 돈을 주고 웹툰을 보는 사람이 거의 없었는데, 웹툰의 유료 생태계를 만든 것을 넘어 세계 시장까지 진출한 건 대단한 성과”라고 말했다.

“새로운 소비 패턴 찾아라” 온라인 모델 혁신 타고 초고속 성장

Naver

“새로운 소비 패턴 찾아라” 온라인 모델 혁신 타고 초고속 성장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8월 11일 오후 11:1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아직 나도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긴한데, 실무에서의 바이브 코딩은 다르다.


    비단 개발자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기획자, 디자이너도 마찬가지로 다른 방식을 써야한다.


    ... 더 보기

    제미나이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 더 보기

    ⟪트레바리 북클럽, 리서치 하는데요 시즌6⟫

    ... 더 보기

    < 이직을 고민하는 당신이 던져야 할 단 3가지 질문 >

    1. 커리어를 선택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일단 내가 가진 가치관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 남들의 시선과 판단도 무시할 수 없다. 이직 트렌드와 경향도 살펴봐야 한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7 • 조회 972


    “왜 나는 욱하고 말았을까?” “왜 나는 그렇게 화를 분출했을까?” 회의 중, 메신저에서, 피드백을 주고받을 때 리더의 감정 폭발은 일순간에 리더십 전체를 흔들어놓는다. 그리고 회의가 끝나고 긴장이 풀리면 리더는 ‘지적의 정당성’과는 별개로 자신의 감정적 태도를 후회하고 자책한다.

    ... 더 보기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n.news.naver.com

    “왜 나는 오늘도 또 욱하고 화냈을까” [김성회의 리더십 코칭]

    길은 잃은 이력서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