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3월에 AI 발달이 사무직, 2030세대의 일자리를 뺏게 될 것이라고 썼던 글이다. 이 글을 썼을 때만 해도 내 생각이 틀리다며 공격하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결국 이렇게 되고 있다. 이 글에 앞서 7년전인 2016년에 한 전문지에 기고했던 글도 마찬가지 논조로 썼다. (댓글창 링크 참고) 그리고 그 시작에 대한 기사가 최근 연이어 나오고 있다. (댓글창 링크 참고) 이제 우리가 해야할 일은 어떻게 AI가 일을 잘하도록 도울 수 있을지 혹은 AI가 해내지 못하는 데이터 이외의 맥락적 배경까지 담아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을지 뿐이다. 이걸 해내지 못하는 사람들은 AI가 시키는 일에 육체적 노동력을 제공하는 것 뿐이다. 그야말로 영화 터미네이터와 매트릭스의 실사판이다.

4050 보다는 2030이 더 직접적인 피해를 보게 될 듯하다

네이버 블로그 | IGM세계경영연구원 블로그

4050 보다는 2030이 더 직접적인 피해를 보게 될 듯하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5월 5일 오전 11:19

함께 읽은 게시물


공공기관 5년차 MZ가 워라밸 버리고 "이것" 선택한 진짜 이유

... 더 보기

대단한 사람



... 더 보기

< 진보는 조용히 오고, 파괴는 시끄럽게 온다 >

1. 문제는 고쳐지고 사람들은 적응한다. 위협이 크면 해결책이 나올 동인도 똑같이 커진다.

... 더 보기


내가 진심으로 창업가이자 사업가로 리스펙트하고 사업피봇팅시 직접 엔젤투자를 한 홀릭스 박태영 대표가 동국대학교 캠퍼스타운이 IT동아와 함께 ‘2025년 스케일업 프로그램’에서 우리 회사가 사업 분석 컨설팅을 맡았던 포플러플래닛의 전문가 컨설팅을 맡아 진행했다. 포플러플래닛 대표님께 많은 도움이 되었을거라 믿는다.

... 더 보기

[스케일업] 포플러플래닛 [1] 홀릭스 “큰 시장만 좇지 말고 브랜드 강점 내세워 돌파해야”

동아일보

[스케일업] 포플러플래닛 [1] 홀릭스 “큰 시장만 좇지 말고 브랜드 강점 내세워 돌파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