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과 시대 흐름에 따라 완전히 새롭게 연결되는 시대가 되었고, 사람들은 더 새롭게 연결되기 위해 다양한 정체성을 가지게 될 겁니다> 1. 바야흐로 멀티 페르소나가 각광받는 뉴노멀 시대다. 2. 점점 더 고정된 가치도 고정된 플랫폼도 고정된 배역도 고정된 직업도 사라질 것이다. 3. 여러 플랫폼을 유연하게 타고 흘러가려면 스스로 직업의 물체성을 ‘레이어드와 유닛’의 형태감으로 투명하고 가볍게 만들어야 한다. 4. 어떤 주제와도 붙을 수 있고 아무하고도 다양하게 겹쳐지고 재조립될 수 있도록. ‘여러 스테이지에서 여러 개의 정체성을 갖고 살라’던 강상중 교수의 예지처럼, 자의 반 타의 반, 우리가 꿈꾸던 ‘부캐'의 나날이 시작됐다.

[김지수 칼럼] '부캐'의 나날들... 나를 지키며 일하려면 올인하지 말라

조선비즈

[김지수 칼럼]  '부캐'의 나날들... 나를 지키며 일하려면 올인하지 말라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8월 12일 오후 10:0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인문 교양에 대한 취미를 닦아야 하는 마땅한 이유》

    ... 더 보기

    기업 대표들 중에는 “우리는 직원 교육을 할 여유가 없다.”라고 거리낌없이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는데, 안타깝게도 이런 생각을 지닌 기업에는 눈에 띄는 인재가 모이기 어렵다. 그러니 교육에 투자해야 한다. 그렇다고 덜컥 큰 돈을 쓰라는 의미는 아니다. 투자한다는 것은 돈을 써서 외부 연수를 시킨다는 의미 말고도, 사내에서 시간과 노력을 들여 교육을 한다는 뜻도 있다.

    ... 더 보기

    [기업성장 컨설팅] 성장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돈 쓰고 도태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무관심

    미래를 보는 신문 - 전자신문

    [기업성장 컨설팅] 성장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돈 쓰고 도태되는 회사 사원 교육에 무관심


    데이터 분석가 커리어 만들기[#1 tools 편]

    데이터 분석가로 커리어를 만들어 간 과정을 써보려고 한다. 첫번째 주제로 재미없는 라떼 이야기와 분석 tool을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요새는 R과 파이썬을 비교하며 어떤걸 배워야 할지 많이 물어보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결론부터 말하면 해당 언어에 대한 이해하면 되고 둘 다 하라고 하고 싶다. 두 개의 툴의 장단점이 있고, 본인이 속한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tool이 다를 수 있다. 사실 한 가지만 잘 한다면 어떤 걸 하던 크게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 만약 어떤 조직에 갔는데 다른 언어를 배워야 한다면 배우면 된다. 1.통계학이 좋아 데이터 분석가로 직업을 하고 싶어 대학원을 진학했다 처음 랩실 선배들이나 대학원 프로젝트는 전부 SAS를 사용하는 툴을 사용했다. 2009년까지는 그랬다. 그런데 시대가 변하기 시작했다. 우리 연구실도.... 2. Big Data가 이슈가 되면서 모든 프로젝트를 R로 하게 되었다. 그러면 항상 SAS와 R을 비교하며 질문을 했다. 물론 아직도 SAS를 쓰는 사이트(회사)는 SAS를 그대로 사용하고 R를 사용하는 사이트, 파이썬을 사용하는 사이트 등 다양하다. 그럼 그때 비교를 하면서 견제를 ... 더 보기

     • 

    저장 6 • 조회 1,103



    《읽는 사람, 쓰는 사람》

    ... 더 보기

     • 

    저장 3 • 조회 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