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닉의 캐릭터 고슴이 팬클럽 창단식> 1. 고슴이 오피셜 팬클럽 이름은 '고슴도슴'으로 1기를 모집한다. 2. 팬클럽에 가입하면 이런 걸 받을 수 있다. 아이돌 팬클럽과 구성 및 전략이 비슷하다. ---고슴도슴 굿즈 키트🎁 ---고슴도슴 1기 온라인 창단식🏟️ --- From. 고슴이 레터💌 ---뉴닉 베타서비스 이용권🔮 3. 뉴닉은 왜 팬클럽을 만들까? 간단해보이지만 간단하지만은 않다. - 팬클럽은 달리 말해 커뮤니티다. 커뮤니티는 현재 콘텐츠 뿐 아니라 제조 뿐 아니라 서비스, 플랫폼 등 대다수의 비즈니스 구조의 기반이 되고 있다. 예전에는 규모를 키우면 수익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 이제는 아니다. 가뜩이나 산업 구조가 디지털 기반으로 전환되는 중에 코로나19의 팬데믹으로 선택지도 사라졌다. 사업 구조를 짤 때는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 그게 약간 미친 짓처럼 보일지라도. - 팬클럽/커뮤니티는 구조의 핵심이다. 디지털 기반의 비즈니스는 업계를 선점하고, 그 분야의 1위가 되는 게 목표가 될 수 없다. 점유율을 기반으로 수익모델을 만드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그보다 궁극적으로는 '성장' 자체가 목표가 되어야 한다. 지속가능한 성장 그 자체가 목표가 되어야 하고, 독과점이든, 점유율 1위든 그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이다. -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구조를 만들기. 그 맥락에서 수익구조, 구독모델, 상품 개발 등이 재고되어야 한다. 이걸 가능케 하는 건 오직 커뮤니티 뿐이다. 4. 뉴닉은 언론사인가? 캐릭터 회사인가? - 뉴닉은 기존 개념에 포섭되지 않는 언론사다. 하지만 뉴닉으로선 '언론'에 포함되지 않는 게 더 유리하다. 사람들은 뉴닉을 '언론사'나 '서비스업체' 등 기존의 개념으로 설명하고 싶겠지만, 사실상 우리는 이들을 설명할 말을 갖지 못했다. 그래서 캐릭터 사업을 하는 서비스업체가 되는 것도 가능하다. '뉴스를 쉽게 풀어주는 것'은 이들이 가장 잘하는 것이자 사람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일 뿐이다. 뉴닉은 뭐라도 될 수 있다. 5. 배우고 싶은 것들 - 비평가가 되고 싶은 게 아니라면, 스스로 틀에 갇히지 말라. - 플레이어가 되는 것이 더 즐겁다. 물론 어렵겠지만. - 2020년 현재, 약간 미친 생각도 충분히 괜찮다. 적어도 뻔한 생각보다는 더 좋다.

뉴닉 NEWNEEK

뉴닉

뉴닉 NEWNEEK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8월 25일 오전 11:4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안정적인 기업 재미없어요! I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사람들

    ... 더 보기

    생각해볼 부분이 많은 chart

    우리는 이런 세상에 살고 있고, 이중 몇몇은 더 잘될것이고, 몇몇은 말이되는 multiple로 내려올것.


    가끔 미국이나 홍콩 등에서 온 해외 투자자들을 만날 때가 있다. 이미 상장된 전 세계 대기업에 투자하는 큰 펀드를 운용하는 회사에 다니는 분들이다. 그들과 이야기하다가 한국의 경영자들은 그들을 잘 만나주지도 않고, 회사의 방향성에 대한 커뮤니케이션도 잘 못한다는 얘기를 들었다.

    ... 더 보기

    글로벌 매체에서 인정받는 한국 경영자가 없는 이유

    ㅍㅍㅅㅅ

    글로벌 매체에서 인정받는 한국 경영자가 없는 이유

    조회 171


    < 좋은 관계를 위한 최소한의 예의, ‘거리 두기’ >

    1. 살다보면 나를 끔찍이 싫어하는 사람이 한둘은 나오게 마련이다.

    ... 더 보기

    업계는 오픈AI와 퍼플렉시티의 웹브라우저가 크롬의 아성을 무너뜨릴 수 있을지 주목한다. 시장조사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전 세계 웹브라우저 시장 점유율은 크롬이 68%로 압도적 1위다. 애플 사파리가 16%로 뒤를 이었고,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5%, 파이어폭스와 삼성인터넷은 2% 수준에 그쳤다. 크롬의 높은 검색 점유율은 구글의 광고 매출로 이어진다. 크롬은 사용자의 검색 기록을 바탕으로 광고를 타겟팅하고, 이를 통해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 더 보기

    ‘크롬 천하’ 웹브라우저 시장 도전하는 AI기업들

    국민일보

    ‘크롬 천하’ 웹브라우저 시장 도전하는 AI기업들

    조회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