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은 참 어렵다. 며칠 되지 않는 단기 알바든, 인턴직, 계약직, 정규직과 같은 구직 면접이 아니더라도 입학을 위한 면접, 요즘은 스펙을 쌓기 위해 스터디원에 들어가는 데도 면접을 본다고도 한다. 구직자가 아닌 이들도, 그저 새로운 활동을 시작하려거나 도전으로 인생을 채우는 데에도 면접이라는 과정을 마주해야 하는 세상이다. 이런 세태가 너무 과하게 느껴질 때도 있다. 기본적으로 나를 뽑을 권한이 있는 이들 앞에서 당당하면서 자만이 느껴지지 않도록, 겸손하면서 너무 주눅 들어 보이지 않은 태도를 갖추고 흔들림 없이 질문에 적절한 답을 이어가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니 말이다. 세상에는 면접을 대비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누군가는 긴장감을 풀기 위해 우황청심환을 먹거나 바나나가 긴장 완화에 좋다는 말에 바나나만 먹기도 하고, 그냥 아무것도 안 먹고 면접에 가는 이들도 있다. 누군가는 면접 때 듣는 노래 플레이리스트가 있을 것이고 또 다른 누군가는 아예 아무 음악도 듣지 않고 가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할 것이다. 만약 누군가 필자에게 면접을 어떻게 대비하냐고 묻는다면, 나는 이렇게 답할 것이다. 면접에 도움이 되기 위해 먹는 것은 따로 없고 거르는 음식도 없지만, 나만의 면접 대비용 노래가 있다고. 그것은 영화 “Sound of music(사운드 오브 뮤직)”의 “I have confidence in me(나는 내게 확신이 있어)”이다. 음악과 자연을 사랑하는 자유롭고 당찬 성격을 지닌 견습 수녀 마리아가 폰 트랩 대령의 집에 가정교사로 일하게 되면서 그와 그의 일곱 아이와 노래로 마음을 나누며 결국 대령과 결혼한다는 줄거리의 너무나 유명한 1965년 작 뮤지컬 영화. 명곡이 가득한 이 영화에서 “I have confidence in me“는 마리아가 수녀원을 떠나 대령의 집으로 갈 때 부르는 곡이다. 자유로운 언행이 수녀로 맞지 않으며 자격이 부족하다는 다른 수녀들의 의견에 따라 원장 수녀는 마리아를 대령의 집 가정교사로 보내기로 한다. 수녀원을 떠나는 날, 상심한 모습으로 수녀원을 걸어 나가던 마리아는 잠시 멈춰서 말한다. “When the lord closes a door, somewhere he opens a window.” (주님께서 문을 닫아두실 때, 어디엔가 창문을 열어 두신다.) 마음속 불안함과 걱정을 누르며 스스로 용기를 갖도록 다독인다. 엄하지만 친절한 가정 교사로 좋은 인상을 주도록 노력할 것이며 그렇게 할 수 있다고, 수녀원의 닫힌 문을 뒤로하고 ‘I have confidence in me(나는 내게 확신이 있어)’라고 노래하며 대령의 저택 문을 두드린다. 상대적으로 영화에서 “My favorite things”, “Do Re Mi”, “Edelweiss”와 같은 곡보다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곡이지만, 해당 노래의 유튜브 영상에는 “영화에서 가장 저평가된 곡 중 하나”라는 댓글에 꽤 많은 좋아요 수로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다. 어떤 형태의 면접이든 어떤 형태의 도전이었건 간에 긴장과 떨림을 누르며 자신감과 확신으로 나아가려는 시도, 때로는 그런 시도를 몇 번 거치며 힘들게 열었던 문을 다시 닫아야 하는 순간도 있다. 우리 모두 문고리를 돌려 문을 열고 마주하게 될 것들에 대해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바람을 품지만, 때론 문턱을 넘어 마주하는 현실은 꿈꾸었던 것과 너무나 다른 모습일 때도 있다. 현실과 이상 사이의 괴리가 본인이 견딜 수 있는 정도라면 다행이지만, 버티기 어려울 때는 그렇게 애를 쓰며 열었던 문을 다시 떠나는 입장에서 마주하기도 한다. 이 문을 열기까지의 여정을 떠올리며 나의 노력은 헛된 것이었는지, 이곳을 나가면 다른 기회가 내게 주어질지, 마음이 불안에 휩싸인다. 그럴 때는 이렇게 생각해보면 어떨까. 겨우 열었던 이 문을 닫고 나오지만, 이게 나의 실패는 아니라고, 그리고 문이 닫히면 어딘가에 분명히 창문이 열려 있을 것이라고. 그렇다면 그곳으로 또 다른 길이 있고 분명 또 다른 문이 나를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고 여기면 될 것이다. 다른 문을 마주하게 될 때가 언제일지 모를 불안한 나날이 이어지더라도, 그 여정을 마리아처럼 자신에게 확신을 가지며 흥겹게 보낸다면 고단함도 덜할 것이라고.

[Opinion] 문이 닫히면, 어딘가 창문이 열려있으니 [사람]

Artinsight

[Opinion] 문이 닫히면, 어딘가 창문이 열려있으니 [사람]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7월 29일 오후 12:4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리더의 성격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Clay는 AI를 통해 50개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영업팀이 잠재 고객을 빠르게 찾도록 돕는 아웃바운드 마케팅 중심의 리드 생성 소프트웨어입니다. Clay 공동 창업자 Kareem Amin의 인터뷰 중, 창업가의 성격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이 담긴

    ... 더 보기

    방송이나 유튜브 보다보면 경제전문가라 말하는 하락론자와 비관론자가 판을 치는데, 최소 지난 수년, 더 나아가 20여년동안 매번 틀려도 여전히 전문가라고 말하고 다니는 걸 보면 재미있다.


    모든 인간사가 그렇듯 인간은 믿고 싶은대로 믿는 존재라 그렇게 믿고 싶은 사람들의 감정적 지지를 받아 밥벌이하고 있다는 건 이해가 된다. 하지만 확율적으로 벌어지기 어려운 천재지변 수준의 사건으로 벌어지는 현상이나 전체 흐름에서 일시적으로 벌어지는 현상, 혹은 인간의 욕망과 본성이 외부적 요인으로 잠시 억눌린 상황에서 현실적 경험 없이 뇌피셜로 몇몇 논리적 근거만으로 설명되는 현상을 바탕으로 자산 가치 떨어지고 세상 망할 것처럼 이야기하는데, 결국 제대로 맞추지도 못하는 사람들을 여전히 추종하는 건 글쎄...

    ... 더 보기

    10억 개 데이터로 밝혀낸 K-POP 팬덤의 모든 것 -케이팝레이더2.0

    1

    ... 더 보기

    📢 케이팝레이더 2.0이 런칭되었습니다.

    stibee.com

    📢 케이팝레이더 2.0이 런칭되었습니다.

    초중고딩 어렸을 적 과학시간에 석유와 석탄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배울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냥 외웠었다. 석유는 공룡을 비롯 동물이 죽어서 만들어지고 석탄은 식물이 죽어서 만들어진다고 배웠는데, 석탄이야 식물이 워낙 많았고 죽으면 자연스럽게 땅에 묻히니 그럴 수도 있겠다 이해가 되었지만, 석유는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안되었다. 동물이 화석이 될 확율이 극도로 낮다는 점을 생각하면 동물이 한꺼번에 같은 장소에서 갑자기 많이 죽어서 결국 석유까지 될 확율은 매장되어 있는 석유량을 볼 때 더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배울 때마다 당시 과학선생님들께 이해가 안된다고 질문을 드렸으나 속시원한 답을 들어본 적은 없었다. 그렇게 10대에 그 궁금증을 묻고 지금까지 잊고 살았다. 그러다 우연히 생각나서 찾아보니...


    비행기가 나는 과학적 원리와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조차 속 시원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질문 중 하나라고 한다. 많은 학설 중 다수의 과학자와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하나는 바다 미생물 이론인데, 이 이야기는 들으면서 고개가 끄덕여질 정도로 납득이 되더라.

    ... 더 보기

    창업 기초, 창업 로드맵, 나도 한번 창업을 해볼까?

    창업 기초, 창업 로드맵, 나도 한번 창업을 해볼까? 이 궁금증을 해결하는 'PBR B라운지 : (직장인 이후의 삶을 위한) 사업 아이디어 선명하게 다듬기' 과정 오늘 저녁 드디어 시작! 😊

    ... 더 보기

    < 몇 번 졌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인생은 결국 득실차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2 • 조회 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