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저녁 뭐 먹었어?"> "하지만 이 질문을 받기 직전까지 투수는 내다보고 있었을 것이다. 쏟아질 비난, 팀원들의 원망, 불명예스러운 기사, 나아가 암담한 미래까지. 그처럼 억겁의 시름에 휩싸인 사람에게 익숙한 얼굴이 다가와 묻는다. 어제저녁에 뭘 먹었냐고." 야구는 투수놀음이라고들 합니다. 투수가 그만큼 중요한 포지션임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그런데 오랜 시간동안의 훈련을 통해 실력을 쌓은 투수들이라도, 경기의 흐름에 따라 혹은 경기의 중요도에 따라 많이 흔들리기도 합니다. 그래서 또 누군가는 이렇게 말합니다. 야구는 멘탈게임이라고. 그런데 흔들리는 투수의 공을 말 한마디로 잡아주는 코치나 감독들이 있습니다. 시인은 그 말들이 기술적인 면보다는 심리적인 면을 잡아주는 말들이라는 데 주목합니다. 이를 테면 "네 공을 누가 쳐?", "야수들 뒀다 뭐 해.", 그리고 "어제저녁에 뭐 먹었어?" 같은 말들입니다. 이런 말 한마디를 듣고 투수는 마운드 위에서 가졌던 긴장을 풉니다. 방금 전까지 가졌던 두려움을 내려놓고, 팀원들을 믿고, 힘든 오늘 또한 수없이 많은 경기 중 한 경기일 뿐이라는 사실을 자각합니다. 리더의 역할에 대해 생각합니다. 프로의 세계에 진입한 후, 경쟁 속에서 살아남은 선수들간의 기술적 차이는 생각보다 크지 않습니다. 때론 심리적인 면이 결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성공하는 리더란 그런 세세한 면들을 짚어 나가며 질 경기를 이기는 경기로 한 게임 한 게임 바꿔나가는 사람, 그런 하루하루를 성실히 쌓아 팀을 목표하는 승률까지 인도하는 사람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삶의 창] 투수를 일으킨 “어제저녁 뭐 먹었어?” / 홍인혜

한겨레

[삶의 창] 투수를 일으킨 “어제저녁 뭐 먹었어?” / 홍인혜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9월 2일 오전 2:1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얼마 전 재미있는 일을 경험한 적이 있었다. 캠퍼스를 걸어가고 있는데 100m 앞 도서관 입구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었다. 그 광경을 먼발치에서 지켜보던 일행 중에서 동료 교수 한 사람이 이렇게 말했다. “저기 뭐 안 좋은 일이 있나봐요? 사람들이 모여 있잖아요.”

    ... 더 보기

    스트레스가 무서운 이유 나쁜생각 악순환 부른다 [김경일의 CEO 심리학]

    n.news.naver.com

    스트레스가 무서운 이유 나쁜생각 악순환 부른다 [김경일의 CEO 심리학]

     • 

    저장 4 • 조회 1,141


    전시회 부스 K31: VLM OCR 집중 시연

    ... 더 보기

    브런치에서의 6년, 그리고 100만뷰

    2

    ... 더 보기

    우리가 하는 ‘회사 일’은 대부분 사람으로부터 배우게 된다. 그만큼 그 일을 가르쳐 주는 이가 누구인가에 따라 나의 퍼포먼스도 일부 결정된다. 그(녀)가, 나를 키우려는 능력과 자질, 충분한 노력을 하려는 사람인지 아닌지에 따라 나의 실력은 평범해질 수도 혹은 일취월장하여 청출어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 더 보기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직장생존을 위한 비즈니스] 좋은 ‘사수’에게 발견할 수 있는 5가지 특별함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 

    조회 482


    최근 어떤 기업의 창업자가 고향 주민들과 지인들에게 최대 1억 원씩 총 1,400억 원을 나누어 주었다는 언론 보도가 화제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흔치 않은 ‘나눔’의 사례로 창업자가 도움받았던 사람들에게 보은하는 ‘감사의 정신’을 실천한 것이다.

    ... 더 보기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한국일보

    기업가와 장사꾼의 차이 | 한국일보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