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스타트업일 때부터 데이터 드리븐하게 일해야 하는 이유]

'데이터가 흐르는 조직'은 언제쯤 만들 수 있을까요? 회사에 데이터가 좀 쌓이면? 데이터 팀이 만들어지면? 데이터 리드를 채용하면? ... 많은 회사들이 (특히 스타트업의 경우) 지금은 좀 어렵고, 나중에 규모가 좀 커지면 데이터 드리븐하게 일할 수 있을거라고 오해를 하는데요. 이런 생각을 가지고 계셨다면 한번 읽어보면 좋은 글입니다. 데이터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들과, 하나하나에 대한 반론들이 잘 정리되어 있어요. - 데이터가 적어서 데이터 드리븐하게 일할 수 없다? - 데이터로 일하기 위해서 빅쿼리, 태블로와 같은 비싸거나 어려운 기술이나 도구가 필수다? - 데이터로 일한다는 건 통계적 분석을 하는 것이다? - 팀이 커지고 데이터 팀을 채용한 후부터 데이터로 일하면 된다?

작은 스타트업일 때부터 데이터 드리븐하게 일해야 하는 이유 (feat. 데이터에 관한 오해 4가지)

Reflow

작은 스타트업일 때부터 데이터 드리븐하게 일해야 하는 이유 (feat. 데이터에 관한 오해 4가지)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9월 18일 오후 3:2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 더 보기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비즈니스워치

    [인사이드 스토리]'배라', 25년 만에 실적 공개 안 한 이유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개념들

    -

    ... 더 보기


    왜 좋은 콘텐츠를 수시로 업데이트 받아야 하는가?

    1

    ... 더 보기

    [25년 6월] 썸원 프라임 멤버십 모집 안내

    somewon on Notion

    [25년 6월] 썸원 프라임 멤버십 모집 안내

    쎄울, 2025


    이름 바꿔쓰기

    자아성찰, 혹은 자기 회고를 할 때는 자기 객관화를 하는 것이 좋다. 감정이 개입되어서는 올바른 회고를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막상 자기 객관화가 쉽지는 않다. 나를 남처럼 들여다보는 것은 많은 훈련을 거쳐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