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튜브 때문에 TV에 위기가 왔잖아요? 저는 집에 웨이브, 왓챠, 디즈니플러스 다 깔아놨어요. 거기서 하는 드라마와 영화를 거의 다 봅니다. 사람들이 뭘 하나, 저 콘텐츠와 저 플랫폼에서는 지금 뭘 하는가, 과연 뭘 하길래 사람들이 다 저리 가 있을까?”
2. “가수는 노래를 잘하고 배우들은 연기를 잘한다고 하잖아요? 근데 우리 예능인은 뭘 잘하는가. (이게) 참 애매해요. ‘잘 웃긴다’는 좀 이상하고요”
3. “뭐라고 해야 하나.. 프로그램을 잘 소화해내는 능력? 예능 프로그램 PD의 의도나 프로그램이 추구하는 바를 잘 표현해내는 사람이 (예능인으로서) 잘 하는 사람이겠죠”
4. “(특히 예능은) 대본이 없잖아요? (대본이 없는 상황에서도) 자기 건 자기가 챙겨야 하죠. 대본이 없는데, 자기 걸 챙기는 게 쉬운 일이 아닙니다”
5. “(프로그램의 기획 취지를 살리면서도, 자기 분량을 챙기고, 다른 사람까지 빛나게 해주는 게 MC의 역할이에요) (그런데) 여러 사람을 지휘하며 사람들한테 말 시키는 건 (어려운 일이에요. 그래서) 유튜브 하시는 분들이 하기에는 아직이라고 봅니다. 유튜버 중 MC가 나오기에는 트레이닝이 덜 돼 있기 때문에. 그래서 유튜버 출신 MC가 안 나오잖아요?”
6. “(다만) 실질적으로 코미디라는 건 3~4명이 해보면 그중 한 사람이 떠요. (업계에선) 어떤 한 사람이 제일 웃기게끔 몰아주는 걸 ‘받쳐준다’고 그러죠. (이처럼 누구 한 명이 뜨려면) 주위에서 받쳐주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안타깝게도) 받쳐주는 사람은 뜨는 게 늦어져요. 가려져 있으면 자기가 나가고 싶어도 선배들이 먼저 나가고, 좀 더 인기 있는 사람이 먼저 하고, 그다음에 자기 차례죠”
7. “그런데 유튜브에선 그 순서가 없어졌어요. 그만큼 빨리 뜨기도 하고요. 장단점이 있는 것 같아요”
8. “(저는) TV나 새로운 걸 보는 걸 좋아합니다. 쉽게 말하면, 저희 일은 냉장고와 비슷해요. 기능은 똑같은데, 환경에 따라 조금씩 바뀝니다. 재미를 보여주는 장소가 바뀌면 조금씩 달라 보이겠죠. 그래서 많은 플랫폼이 생긴 게 저에게는 큰 도움이 됐습니다”
9. “(저는 새로운 플랫폼이 등장하면 빨리 시도하는 편이에요) 케이블 TV 출연도 제가 제일 먼저 시작했을 거예요. tvN에서 <화성인 바이러스> 하고 있는데 종편이 개국했어요. 바로 갔죠. 채널 A <나만 믿고 따라와 도시 어부>. 뭔가 새로 생기면 바로 가야 돼요”
10. “(이번에 팟캐스트를 시작하는 이유 중 하나는) 라디오는 목소리로 가는 거잖아요? 나이를 먹으면 제일 먼저 눈이 안 좋아지고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게 목소리예요. 잘 다듬고 관리하면 목소리는 그렇게 늙지 않아요. 그러니까 몸을 좀 못 쓰게 되더라도”
11. “(다시 말해) 만에 하나 어딘가 다쳐서 영상을 못 해도 라디오는 계속할 수 있잖아요? 노후 대비용으로. 오디오 콘텐츠가 나이 먹어서도 꾸준히 할 수 있는 매체 같아요”
12. “(마지막으로 한 업계에서 오래 살아남으려면) 자리를 비우면 안 되죠. 끝까지 자리를 비우면 안 됩니다. 저는 제 대신 녹화를 한 사람이 없어요. 예를 들어서 누가 다쳐서 대신 다른 사람이 하루 MC를 봐주고 그런 거 있잖아요? 저는 (지금까지) 제 프로그램에서 한 번도 그렇게 해본 적이 없어요” (=책임감+꾸준함)
13. “조기 축구하다가 다리 부러져서 잠깐 쉬면 다른 사람이 MC 봐줄 수 있죠. 저는 조기 축구를 안 해요. 몸이 다칠 수 있는 것들을 안 합니다. 그러니 누가 나 대신 녹화한 적이 없어요. 방송을 펑크 낸 적도 한 번도 없고. 축구선수는 축구를 잘하는 것도 중요한데 부상을 안 입는 게 제일 중요해요. 메시는 부상을 안 입어요. 그래서 계속할 수 있어요. 우리 직업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해요. 다치면 안 돼요. 쉬면 안 돼요. 부상당하지 않고 계속해야죠”
14. “(그런 의미에서 저의) 롤모델은 저예요. 내가 어떻게 할 것인가를 스스로 생각하고 살아왔습니다”
15. “그리고 끝없이 열심히 일한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습니다. 자기 일에 매진했다가 가는, 그런 사람으로 남고 싶죠”
- 이경규
< 🔔 내가 만나본 빠르게 성장하는 주니어 개발자들의 특징 >
본론에 앞서 이 글은 그동안 제가 만나본 성장이 빠르다고 느낀 주니어 개발자분들의 태도와 습관을 정리해보는 글입니다.
기술이나 학습등을 거론하며 '이런것만 배우면 당신도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류의 글은 아니고 그분들의 이런 태도와 습관이 성장에 영향이 있지 않았을까 정도의 글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질문을 잘한다.
빠르게 성장하신 분들의 질문엔 2가지 공통점이 있었다.
1. 질문의 타이밍
대부분의 신입사원이나 주니어 개발자분들은 선배 개발자에게 질문을 하기 부담스러워 한다. 그래서 혼자 몇일을 끙끙거리다가 힘겹게 질문하거나 선배 개발자가 먼저 말을 걸어서 답을 얻는 모습을 많이 본다.
만약 알고싶던 내용이 선배 개발자가 바로 대답해줄 수 있는 것이었다면 오래 끙끙거린만큼 시간을 허비해버린것과 같다.
질문을 잘하는 분들의 경우 자신들의 고민이 자신이 풀수 없는 수준이라는걸 알게 되면 선배 개발자들에게 바로 질문함으로써 그만큼 시간을 아끼고 다음 스텝으로 나아간다.
2. 질문의 깊이
질문할 때 '이게 뭐에요?' 나 'A 부터 Z 까지 알려주세요' 등의 질문을 하지 않는다.
자신이 충분히 찾아보고 자신의 선에서 최대한 알아본 뒤에 풀리지 않는 부분을 질문한다. 그렇기에 질문의 깊이가 깊다.
이런 질문을 받았을 때 바로 답을 주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이런 깊이 있는 질문은 정확한 확인을 위해 다시 한번 관련 내용을 찾아보게 만든다.
이로 인해 질문 받는 사람도 알고 있던 내용을 복습하거나 놓쳤던 부분을 공부하게 되고 이를 통해 같이 성장하는 느낌을 받는다. 그래서 나는 이런식으로 질문 하는 분들이 좋고 나도 다른 사람들한테 이렇게 질문을 하기 위해 노력한다.
✅️ 가만히 있지 않는다.
간혹 내 업무가 많이 밀리고 바쁘다보면 주니어 분들을 신경쓰지 못해 그분들의 업무에 공백이 생길때가 있다. 업무를 잘하시는 주니어 분들은 이런 공백도 허투루 지나가지 않고 아래와 같은 행동들을 한다.
1. 업무 혹은 과제를 달라고 요청한다.
2. 팀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이슈가 없는지 찾아본다. 혹은 발견된 이슈의 원인을 파악해보려고 한다.
3. 팀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 코드를 분석한다.
4. 팀에서 사용하는 오픈소스나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코드를 분석한다.
5. 프...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