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퍼티션 파이널리스트에 선별되었습니다!

지난 10월 말에 참가했던 Domo 케이스 컴퍼티션에서
최종 파이널리스트(Finalist) 10팀 중에서 당당하게 선발되었습니다.

도모(Domo)는 태블로(tableau) 나 파워 비아이(Power BI)와 같은
BI 툴로서 다양한 데이터 시각화를 사용해 여러가지 비즈니스 케이스를
분석할수 있는 도구입니다.

이번 케이스는 미국 각지 대학에서 참여할 만큼 매우 큰 대회였는데요.
제가 다니는 UofU 뿐만 아니라 스탠포드, BYU, University of California, Northwestern University 학생들까지 참가하였습니다.

유일한 한국인으로서 최종 파이널리스트 안에 든 것이 매우 기분이 좋네요 :)
앞으로 다가올 11월 16일날 Domo 헤드쿼터에서
심사위원들 앞에서 만든 대시보드를 발표하는 최종 파이널 라운드가 시작됩니다.

파이널리스트에 든 것도 영광이지만,
이번 총 상금이 5만 달러($50000)인 만큼 끝까지 최선을 다해서
우승까지 노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데이터를 더욱 재미있고 가치있게 배울수 있도록
노력하는 데이터 리차드가 되겠습니다.

많이 응원해주세요 :)


#데이터리차드 #데이터분석 #데이터컴퍼티션

👇 기사 보기:

Press Release - Domo Announces Finalists for Higher Education Student Case Competition | Domo

Domo

Press Release - Domo Announces Finalists for Higher Education Student Case Competition | Domo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9일 오전 2:3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

    ‘훌륭한 데이터 분석가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

    ... 더 보기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4,953


    PM이 이해하면 좋은 지표 개념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