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필수로 배워야 하는 기초 지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하나만 배운다면 데이터 구조


2️⃣ 두가질 배운다면 알고리즘


3️⃣ 세가질 배운다면 머신러닝


4️⃣ 네가질 배운다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주요 업무인 프로그래밍이라는 것은, 주어진 데이터를 변형하거나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 전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구조와 데이터를 다루는 알고리즘을 배우는 것이 기본이겠고요.


더불어 데이터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만들어내는 머신러닝과, 이를 통해 만들어진 AI를 이용하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이해해야 다가오는 AI 시대에 적응 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즉, 프로그램이, AI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작동하는지, 그리고 AI를 어떻게 다루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죠. 왜냐하면 나머지는 이제 앞으로 AI가 다 해 줄 테니까요.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19일 오후 5:07

 • 

저장 131조회 5,524

댓글 3

  • [광고] 골빈해커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A-Z ML/LLM의 개념과 기술전략부터,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기본적인 내용은 물론, 여타 다른 강의와는 다른 제대로 된 개념 이해와 상용 서비스를 위해 고려해야 할 평가와 테스팅 방법론, 그리고 Anonymous Agent(AutoGPT)와 파인튜닝까지. 단순히 ChatGPT 사용법이 아닌, 이미 도래했고 앞으로 도래할 LLM 시대에 나올 거의 모든 제품을 이해 할 수 있는 강의로, 오랜기간동안(거의 5개월간) 심혈을 기울여 커리큘럼 작업을 했습니다. 그동안 GPT로 상용서비스와 프로토타입을 수십개가량 만들고 운영하면서 알게된 노하우들로 만들어진 강의이니만큼, 엔지니어는 물론 기획자나 사업직군의 분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을거라 자신합니다. 많은 관심과 구매 부탁드립니다. 🤭🫣🤗 https://fastcampus.co.kr/data_red_golbin

함께 읽은 게시물

사람들이 요즘 AI, ChatGPT에게 의존하여 사고력이 저하되고 있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두뇌 발달에 안 좋으니, 80년대에 계산기 쓰지마라, 90년대에 컴퓨터 쓰지마라, 2000년대에 엑셀 팡션 쓰지마라, 2010년에 스마트폰 쓰지마라는 말과 같다는 생각이다.


... 더 보기

 • 

저장 6 • 조회 1,957


간밤에 OpenAI가 오픈소스 모델을 발표했네요.

... 더 보기

< 몇 번 졌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인생은 결국 득실차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2 • 조회 825


《접근성, 누구라도 경험하는 가치》

... 더 보기

< 사람들은 이제 ‘기능’이 아닌 ‘의미’를 소비한다 >

1

... 더 보기

초중고딩 어렸을 적 과학시간에 석유와 석탄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배울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냥 외웠었다. 석유는 공룡을 비롯 동물이 죽어서 만들어지고 석탄은 식물이 죽어서 만들어진다고 배웠는데, 석탄이야 식물이 워낙 많았고 죽으면 자연스럽게 땅에 묻히니 그럴 수도 있겠다 이해가 되었지만, 석유는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안되었다. 동물이 화석이 될 확율이 극도로 낮다는 점을 생각하면 동물이 한꺼번에 같은 장소에서 갑자기 많이 죽어서 결국 석유까지 될 확율은 매장되어 있는 석유량을 볼 때 더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배울 때마다 당시 과학선생님들께 이해가 안된다고 질문을 드렸으나 속시원한 답을 들어본 적은 없었다. 그렇게 10대에 그 궁금증을 묻고 지금까지 잊고 살았다. 그러다 우연히 생각나서 찾아보니...


비행기가 나는 과학적 원리와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조차 속 시원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질문 중 하나라고 한다. 많은 학설 중 다수의 과학자와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하나는 바다 미생물 이론인데, 이 이야기는 들으면서 고개가 끄덕여질 정도로 납득이 되더라.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