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분산성'에 대해 알아보자

가설 검정을 위해 어떤 통계적 방법을 사용할지 선택할 때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이 '등분산성' 입니다!


실험을 위한 집단간의 분산이 동일한 정도(등분산성)를 판단하는 것을 '등분산 검정'이라고 하는데, 이 등분산성 검정은 그룹이 3개 이상인 경우의 실험에서 특히 중요해집니다.

일반적으로 모수 검정은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르고 등분산성을 가정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되고, 비모수 검정은 반대로 정규분포와 등분산성을 가정할 수 없을 때나 순위 또는 순서에 중점을 둘 때 사용하게 되지요!


진행한 실험의 결과를 해석하기 위해 어떤 검정을 써야하는지 고민하고 계시다면, 등분산성에 대해 먼저 익히고 등분산 검정 시행을 추천드립니다! 🙂

2.등분산성 검정(Homogeneity of Variance Test)

자유데이터 - 필수 데이터 분석 지식

2.등분산성 검정(Homogeneity of Variance Test)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25일 오전 5:4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데이터 분석가 600명의 이직 결심 사유는 무엇일까요?

    ... 더 보기

    - YouTube

    www.youtube.com

     - YouTube

    그러고보니, 예전에는 입사 지원서에 희망연봉란이 있었는데 언젠가부터 사라졌네요. 왜 없어진걸까요? 제일 중요한건데…


    채용과정은 지원자나 회사입장에서나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드는거라, 합격했는데 연봉 수준이 안맞아서 취소되면 그 앞의 노력이 얼마나 허무한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