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하게 트래픽이 증가하면서 아키텍처를 변경한 사례중에 상반된 사례가 있는데, 인스타그램과 핀터레스트다.


인스타그램은 단순하게 만들었다가 장애들을 거치며 아키텍처를 확장한 경우.


핀터레스트는 빠르게 확장성을 고려해서 만들었다가 단순하게 변경한 경우.


인그타그램에서는 처음에 확장을 고려했어야했다고 회고했고, 핀터레스트는 미리 확장을 고려하지 말았어야했다고 회고했다.


둘 다 성공적으로 서비스를 키웠기 때문에 어느쪽이 맞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인스타그램쪽이 더 맞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경우 미래에 어떤 모습이 될 지 알 수 없으므로, 확장성을 미리 고려해 개발하면 개발 속도가 느려질 뿐더러, 오히려 더 바른 아키텍처로 나아갈 길을 방해할 확률이 높다.


물론 그렇다고해서 그냥 대충 때려박아서 아무렇게나 만들라는 말은 아니니 오해하지 말아주세요. 😇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2월 3일 오전 11:10

 • 

저장 8조회 2,847

댓글 1

  • 삭제된 사용자

    2023년 12월 04일

    국내 현실에선 인스타 처럼 진행 되는 경우가 많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핀터레스트 처럼 하기 위해선 리소스 추가 투입이 예상되고 이를 위해 윗선을 꾸준히 설득해야 하는 일이 다반사 였던 경험이 많기에..

함께 읽은 게시물

2019년에 저희 팀에서 퍼블리싱한 CHI 논문. 음성 인터페이스 입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교육.

... 더 보기

조회 668


Ml 엔지니어 진로: 편입 (max 한양대, 중앙대)vs포트폴리오 집중

안녕하세요. ML 엔지니어를 목표로 준비 중인 건국대 글로컬 캠퍼스 컴퓨터공학과 재학생입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