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를 지배하는 '록스타 원칙'> 1. 넷플릭스의 조직 문화에 대해선 호불호가 많이 갈리고, 저 또한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여럿 있습니다. 2.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넷플릭스가 본인들만의 독창적인 조직 문화를 구축했다는 점은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 같은데요. 넷플릭스의 조직 문화를 구성하는 원칙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3. 그중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록스타 원칙'입니다. 1960년대 미국의 어느 지하 연구실에서부터 시작된 '록스타 원칙'은, 이후 실리콘밸리를 비롯한 소프트웨어 개발업계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는데요. 4. 간단히 설명하면, '록스타 원칙'은 탁월한 1명의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어중간한 개발자 10~20명보다 훨씬 더 나은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걸 의미합니다. 5. 그리고 이 '록스타 원칙'은 자연스럽게 탁월한 소프트웨어 개발자 한 명에게 10~20명의 연봉을 몰아주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주장으로 이어졌는데요. 6. 개발자 출신인 넷플릭스의 리드 해이스팅스는, 닷컴 버블 이후 구조조정을 하는 가운데 '10~20명의 평균 수준의 엔지니어를 유지할 것인가, 아니면 최고의 엔지니어들에게 연봉을 몰아줄 것인가'를 고민하다가, 결국 후자를 선택하게 됩니다. 7. 그리고 리드 해이스팅스는 자신의 선택에 대해 이렇게 말합니다. "지금까지 제 경험에 의하면, 최고의 개발자는 조직에 고작 10배의 가치만을 더하는 게 아닙니다. 그들은 100배 이상의 가치를 만들어냅니다" 8. 즉, 자신의 선택이 틀리지 않다는 것이죠. 넷플릭스의 성장 과정을 지켜보면 그의 말을 부정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리드 해이스팅스뿐 아니라, 빌 게이츠와 마크 주커버그 또한 록스타 원칙을 신봉하는 사람으로 잘 알려져 있고요. 9. 물론 록스타 원칙은 처음 등장한지 50년이나 지났지만, 여전히 논란거리입니다. 원론적인 이야기지만, 각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산업 분야에 따라, 록스타 원칙이 적용될 수 있고 아닐 수도 있겠지요. 10. 다만, 여기서 넷플릭스가 가진 또 하나의 특이점은, 소프트웨어 개발 영역을 넘어, 조직 문화 전체에 이 '록스타 원칙'을 적용하려고 했다는 점입니다. 11. 개발자뿐 아니라, 가능한 모든 분야에서 탁월한 구성원을 뽑고 그들에게 파격적인 대우를 해주면, 그들이 그 이상의 가치를 해낼 것이라고 믿은 것이죠. 12. 그래서 넷플릭스는 탁월한 구성원에게 그 어느 회사보다 탁월한 조건을 제시하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하되, 동시에 탁월하지 않은 구성원들에겐 두둑한 퇴직금을 챙겨주며 회사를 떠나게 만드는 제도도 함께 만들었습니다. 13. 언뜻 보면 이상할 수 있지만, 철저하게 록스타 원칙에 근거해서 판단을 내린 셈이죠. 14. 이렇게 넷플릭스는 개발뿐 아니라, 크리에이티브 영역까지 이 록스타 원칙을 확장시켰는데요. 15. 물론 애초부터 콘텐츠나 창작의 영역은, 상위1%에게 부와 인기가 쏠리는, 이른바 '슈퍼스타의 법칙'이 통용되는 산업이었기 때문에, 접목시키기가 비교적 쉬웠을지는 모르겠지만, 16. 이런 법칙과 원칙을 회사에 뿌리내리게 했다는 점은, 어쩌면 넷플릭스만이 가지는 고유의 특징이 아닐까 싶습니다. 17. 그리고 넷플릭스의 이런 문화가, 수많은 논란에도 어느 정도 잘 작동하는 이유는, 넷플릭스가 제조업이 아니라 비교적 록스타 원칙이 잘 적용될 수 있는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네요. (Market-Culture Fit) 18. 그런 의미에서, 최근 리드 해이스팅스가 직접 매체 기고하면서까지 밝힌 자신의 철학에 대해 노안주님께서 번역한 내용을 공유드립니다.

Notion – The all-in-one workspace for your notes, tasks, wikis, and databases.

kimcoder on Notion

Notion – The all-in-one workspace for your notes, tasks, wikis, and databases.

2020년 9월 19일 오후 11:38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