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rbnb Tech blog에 데이터팀이나 프로덕트팀에 새로 합류한 주니어 데이터과학자를 위한 포스트가 있어 소개드립니다. 여기서 글쓴이는 효과적으로 일을 하기 위한 4가지를 제안하고 있습니다. 1. Prioritization (우선순위) 2. Estimating how long tasks will take (작업 소요시간 추정) 3. How to get your questions answered (질문에 대한 답변을 얻는 법) 4. Communicating & sharing your work (커뮤니케이션, 작업 공유) --- [Prioritization (우선순위)] "To work well with PMs, you need some understanding of what they do." - PM들과 잘 협력하기 위해서, PM들이 하는 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In practice this means that whenever someone asks you for data, you should make sure they articulate what they need it for. Oftentimes, this process will allow you to learn that what someone wants does not always address what they need. - 데이터 추출이나 분석을 요청을 받을 때, 왜 이 데이터가 필요하진 명확히 설명을 부탁해야 합니다. 목표 달성 혹은 문제 해결을 위해 데이터 담당자로서 더 적합한 접근 방법과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Estimating how long tasks will take (작업 소요시간 추정] "I’ve noticed that the tasks that take junior data scientists the longest to complete are usually not those that are the most intellectually challenging. Instead, they are those that are the least well-defined, or those in which infrastructure needs are not fully articulated or understood." - 주니어 분석가 입장에서 가장 시간이 오래 걸리는 부분은, 지적(코딩, 방법론)인 부분이 아닌, 작업 진행을 위해 어떤 인프라와 툴이 있고, 어떤 데이터베이스에 어떤 테이블을 봐야 할지, 어떤 조건으로 데이터를 전 처리해야 할지입니다. "Do you understand what’s being asked for analytically?" "do the data exist?" "ask that logging be added, and make it clear that any analysis will be delayed until you have sufficient data. " - 어떤 분석을 요청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해 ->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 존재하지 않으면 데이터 태깅 및 충반한 데이터 적재까지의 시간이 필요하며 다소 지연이 될 수 있음을 공유 해야합니다. --- [How to get your questions answered (질문에 대한 답변을 얻는 법)] "you do not get ahead by monopolizing information." "We’re all better when information flows freely and is widely accessible." - 정보를 독점하지 않고, 자유롭게 흐르고 접근할 수 있어야 조직 전체가 더 나아갈 수 있습니다. --- [Communicating & sharing your work (커뮤니케이션, 작업 공유)] "this often means that it is not your job to tell business partners how much work you did or how hard it was or what the various model evaluation measures were" - 분석요청자 혹은 PM에게 분석 리포팅은 기술적으로 어떤한 어려움이 있었는지, (가령 데이터 퀄리티 확보와 정합성을 얻기 위한 과정, 최고의 성능을 위한 모델링 작업)을 알리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If a PM asks a question about your users, answer it as simply as possible" - 분석 요청자 혹은 PM에 질문에는 가능한 심플하게 답변하는게 좋습니다. (기술적 요소가 아닌) "Make sure to get feedback early and often from your manager, other data scientists, and business partners on your work." - 분석 작업 초기에 분석 요청자, PM, 동료 분석가에게 피드백을 받아야 합니다.

New Data Scientists: Tips for Success

Medium

New Data Scientists: Tips for Success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9월 29일 오전 8:3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MZ 퇴사 사유 1위, 당신도? 일자리 판도가 바뀐다!

    M

    ... 더 보기

    리더. 국어사전을 보면 조직이나 단체에서 전체를 이끌어가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지식백과사전에는 어떤 조직이나 단체에서 목표의 달성이나 방향에 따라 이끌어 가는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 구성원들에 대한 결정의 책임을 지고 또한 집단 외부와의 조정 기능의 역할도 하는 사람이라고 되어 있다.

    ... 더 보기

    [시사뉴스] 【박성태 칼럼】 리더가 독재를 하게 되는 두가지 이유

    www.sisa-news.com

    [시사뉴스] 【박성태 칼럼】 리더가 독재를 하게 되는 두가지 이유

    조회 238


    < '모든 것을 받아들이기'의 진짜 의미 >

    1.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으면 현재를 살게 된다.

    ... 더 보기

    오픈AI는 아이브의 AI 기기 개발 스타트업인 io를 전액 주식 거래로 인수하기로 했다. io의 기업가치는 약 65억달러(약 8조9000억원)로 평가된다. 

    ... 더 보기

    오픈AI, 아이폰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 스타트업 인수…AI 기기 개발 본격화

    블로터

    오픈AI, 아이폰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 스타트업 인수…AI 기기 개발 본격화

    < 집착, 신념, 두려움 – 당신을 망치는 3가지 필터 >

    1. 당신에게는 세 가지 여과 장치가 있는데, 첫째는 당신의 집착, 둘째는 당신의 신념, 셋째는 당신의 두려움입니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