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 서비스 UI를 필터로 채택한 이유
브런치스토리
찜/구독 서비스에서 보이는 UI를 분석해보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YouTube가 필터 UI를 선택한 이유는
1️⃣콘텐츠 양이 방대합니다.
YouTube는 동영상, 채널, 재생목록 등을 포함하여 방대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필터 UI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관련성, 업로드 날짜, 조회수 등과 같은 기준에 따라 검색 결과를 세분화하여 자신의 선호도에 맞는 콘텐츠를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개인 맞춤형 콘텐츠에 기반합니다.
YouTube의 추천 로직은, 개별 사용자 선호도에 맞는 동영상을 제안합니다. 필터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시청 기록, 좋아요 표시한 동영상, 구독 등의 요소를 기반으로 추천을 맞춤화하여 더욱 개인화된 탐색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3️⃣ 통합 콘텐츠처럼 보이고자 하는 의도가 숨겨져 있습니다.
YouTube의 시작은 동영상이였지만, 지금은 채널의 게시글과, 숏츠 콘텐츠까지 확장되었습니다.
채널에는 동영상, 재생목록, 커뮤니티 게시물 등 다양한 콘텐츠가 생긴 것이죠. 이들이 공평하게 콘텐츠 노출량을 확보하고, 탐색을 전환할 수 있도록 일종의 "통합 콘텐츠"처럼 노출하는 것입니다. 같은 식구들처럼 한 페이지안에서 스크롤하며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죠. 언젠가부터 숏츠가 메인 홈에 나타난걸 보셨나요?
무신사가 탭 UI를 선택한 이유는
1️⃣서로 다른 콘텐츠의 특성을 이해하고, 사용자들에게 직관적으로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앞서 YouTube는 "통합 콘텐츠" 라고 말씀드렸는데요. 무신사/29CM는 이를 통합으로 보지 않는 것입니다. 마치 한 식구가 아니라 다른 식구처럼 보이되, 한 화면에 깔끔하게 잘 정리해서 구분짓는 모습입니다.
2️⃣ 사용자들에게 예측 가능한 정보를 주기 위함입니다.
탭 UI는 명확한 결과를 제공합니다. 실시간으로 내가 액션할 때 마다 변하는 동적이 아니라, 이미 예상된 결과가 나타나고, 예측 가능하게 제공하는 정적 화면입니다. (내가 탭 안에서 액션을 한다고 해서 콘텐츠 내용이 변하는 건 없죠)
3️⃣주요 KR은 상품 수익일 것입니다.
Like 지면에 랜딩되면 바로 찜한 상품 탭이 보여집니다. 주변 콘텐츠의 방해 없이, 사용자들은 자신이 좋아한 상품을 쉽게 찾아 구매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좋아했던 항목을 쉽게 찾고 구매할 수 있는 사용자들이 타겟 유저일 것입니다. 서비스의 가장 우선순위는 찜한 상품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겠지요.
https://brunch.co.kr/@nahyeonjoy/32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2월 1일 오전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