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은 데이터로 돈 벌 수 있을까?] •밀레니얼 세대의 연평균 임금상승률은 0.3%, 이는 부모세대의 3분의 1에 해당 •2017년 포춘 500 기업 중 81개 기업만이 연금을 제공, 20년전에는 288개 기업이 제공 •대다수의 밀레니얼들은 75세까지 은퇴가 불가능한 구조 우리세대가 부모세대보다 못 살거라는 예측은 헬조선 미신이 아닌, 글로벌한 현상이다. 본 기사는 통계로 우리세대는 객관적으로 망했다고 보여주는데, 여기서 절망하지 말고 이 분노(?)를 생산적인 방법에 써보자는 취지로 공유한다. 👸🏽바로 내 데이터에 대한 자산가치를 제대로 인정 받는 것 밀레니얼 세대의 개인들은 가난해졌지만, 오늘날처럼 1조 이상가치의 기술기업이 빠르고 많이 탄생한 때가 또 없었다. 그리고 보통 이 기술 대기업들은 타겟광고, 고객행동 예측, AI 구현 등을 위해 밀레니얼 세대에 대한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럼 우리가 데이터의 주권을 지키기 위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걸까? (가입할 때 체크박스에 체크하는 것 외에 달리 경험해본 바가 없는데 말이지…그리고 이는 대부분 돈을 쓰기 전에 하는 행위였다. 돈도 내고, 개인정보도 주고..) 그 방법은 기업이 개인정보 공유에 대해서 고객중심의 접근방식을 도입해, 고객이 동의하거나 철회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단순 동의를 얻은 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관리감독이 가능한 워크플로우 상에서 동의하고 이를 보안된 디지털 링크로 만드는 것. 동의가 확보되면 기업은 플랫폼 상에서 이를 관리하며, 고객이 개인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업과 동일하게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디지털 권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처럼 개인이 데이터에 대한 관리 감독이 가능하게 되는 경우, 개인은 자신이 데이터를 제공한 기업당 연 $75,000 의 소득을 벌 수 있다고 한다. (🤔이건 어떻게 산정한 금액인지 모르겠네) 🇰🇷한국은 지금 어떻지? 아무튼 이러한 데이터 주체의 변화에 대한 움직임은 국내에서도 이뤄지고 있다. 금융권을 시작으로 도입된 ‘마이데이터’ 사업인데, 안타깝게도 위와 같이 데이터의 주인인 고객에게 합당한 대가를 줘야한다는 것보다는 다른쪽에 더 무게가 실려 있다. 바로 데이터 3법으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하자는게 더 주요한 취지인 것. 국내는 개인정보 보호에 치중된 데이터 3법 때문에 기존 데이터의 활용도가 낮았는데, 본 사업을 통해 여기저기 흩어진 데이터를 통합 조회가 가능케 하자는 것이다. 때문에 현재의 화두는 금융사 vs IT기업(네이버, 카카오 등) 구도의 마이데이터 사업에서 누가 승리할 것인가 - 이다. 마이데이터 사업에서 ‘마이’의 주체인 우리가 소외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Can Millennials turn their data into dollars? | e27

e27

Can Millennials turn their data into dollars? | e27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0월 4일 오전 7:3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메타, MS, 알파벳의 지난 10년간 연간 해고율 그래프. 최근 빅테크의 대규모 해고가 정말 AI 때문일까요? 그렇다면 크게 감원하는 것이 목적일까요?

    ... 더 보기

    조회 893


    < 트레바리 '오디티 빌더스' 클럽에 초대합니다 >

    1

    ... 더 보기

    최고의 차별화 전략, 궁극의 브랜딩이 무엇인지 묻는다면, ‘가장 자기다운 브랜드가 되는 것’이라고 답할 것이다. 자기다움으로 차별화된 브랜드는 아무리 신선하고 새로운 브랜드가 나오더라도 흔들리지 않는다.

    ... 더 보기

    직원 교육을 통해 브랜드 DNA를 구축하다. 브랜드의 영혼을 가진 Brand Avatar

    The Unitas

    직원 교육을 통해 브랜드 DNA를 구축하다. 브랜드의 영혼을 가진 Brand Avatar

    조회 341



    행복은 모든 사람이 갈망하는 삶의 화두다. 행복해지기 위해 공부하고, 일하고, 운동하고, 절대자를 찾고, 복권을 긁는다. 하지만 행복에 도달한 사람이 그렇게 많아 보이지는 않는다. 접근 방법이 틀렸기 때문이다.

    ... 더 보기

    <인문학 이야기> 서은국 "삶 곳곳에 쾌감의 폭탄을 설치하라"

    n.news.naver.com

    <인문학 이야기> 서은국 "삶 곳곳에 쾌감의 폭탄을 설치하라"

    한국 문화가 글로벌하게 인기 있으면 이런 일까지 벌어집니다

    1

    ... 더 보기

    필리핀 외식왕국 '졸리비'는 왜 한국 브랜드만 골라 삼킬까?

    n.news.naver.com

    필리핀 외식왕국 '졸리비'는 왜 한국 브랜드만 골라 삼킬까?